드라마나 영화 같은 장면을 보고 또 봅니다
안녕하세요. 22살 대학생 남자 입니다. 일단 핵심 결론만 말씀드리면 '난독증이 있는데 많은 드라마 영화 책을 꾸준히 보다보면 나아질까요?' 입니다
제가 수능에서 나름 국어를 2등급 상위로 받았었고 그 내신따기 어렵다는 광역 자사고에서 문학만큼은 1등급을 받은적도 있었습니다. 자랑은 아니고,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알려드리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대학생활 2년하면서 책을 많이 읽지 않아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난독증 비슷한 증세가 생긴 거 같습니다.
예전이면 그냥 웃고 넘길 드라마 영화 장면이지만, 요새는 같은 장면을 보고 또 봅니다. 특히나 말이 조금이라도 빠르거나 대사가 휙휙 바뀌거나 하면 그 증상은 더더 심해지죠.
최근에 '굿 윌 헌팅'이라는 영화를 보다가 그 심각성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2시간짜리 영화를 무려 3시간 정도 보고 있었던 것입니다.
정말정말 힘듭니다. 이게 고쳐질 수 있는 병일지, 왜 성인에 와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 의외로 친구들과 대화는 막힘없이 잘되는데 특히나 드라마나 영화 볼때 이런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 너무 의아합니다..
정말로 책이나 영화를 이런식으로라도 꾸준히 읽고 보면 나아질 수 있을까요ㅠㅠ?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난독증 증상으로 고민하고 계시군요. 영화나 드라마를 즐기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니 많이 힘드셨을 것 같아요. 난독증은 뇌의 언어 처리 과정에 차이가 있어 생기는 증상인데, 성인이 되어서 새롭게 발병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요.
갑작스러운 난독증 증상은 뇌의 기질적 문제 때문일 수 있습니다. 뇌종양, 뇌염, 뇌출혈 등으로 인해 언어 중추에 이상이 생기면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거든요. 치매나 알츠하이머병 초기에 읽기 장애가 동반되기도 해요.
또 다른 가능성은 스트레스나 집중력 저하 때문일 수 있어요. 대학 생활에 적응하면서 받는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인해 인지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우울감이나 불안감도 영향을 줄 수 있고요.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겠어요. 필요하다면 뇌 MRI 등의 검사를 통해 기질적 원인을 감별하고, 인지기능검사를 통해 난독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
책이나 영상 매체를 꾸준히 접하는 것 자체가 나쁘진 않지만, 악화되는 증상을 방치하면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어요. 휴식을 취하면서 독서량을 조절하고, 속도를 조정해가며 읽어보세요.
증상의 원인에 따라 인지 치료, 행동치료, 약물치료 등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너무 불안해하지 마시고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아가시길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