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8

고사성어 일거수일투족의 유래와 쓰임에 대해 알려주세요.

우리가 알고 있는 일거수 일투족이라는 고사성어가 옛날과 지금 용어 사용에 뜻을 달리하고 있다던데요. 그대로 풀이하면 손 한번 들고 발 한 번 옮긴다로 해석이 되는데 일거수일투족이 생겨난 유래가 궁금해요. 그리고 대표적으로 어떤 경우에 쓰이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영화 전문가blue-check
    유영화 전문가24.01.18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거수일투족(一擧手 一投足)'이란 오늘날 주로 감시라는 단어와 같이 쓰일 때 많으며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 하나하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 뜻은 매우 쉬운 일 또한 사소한 하나하나의 말과 행동이다입니다.

    일거수일투족의 유래는 당나라 사람 한유는 어려서부터 글쓰기에 소질이 있었으나 과거에 매번 탈락하게 되자 시험감독관에 편지에 썼습니다. 편지의 내용은 '큰 강의 물가에는 괴물이 사는데, 그 괴물은 물에 들어가면 비바람을 일으키고 하늘을 오르락내리락할 만큼 대단한 능력을 발휘하지만 물에 들어가지 못하면 아무 것도 할 수 없어 비웃음을 살 때가 많습니다. 만약, 힘이 있는 사람이 괴물을 가엾게 여겨 물에 넣어주려한다면 손 한번 들고 한 번 내딛는 정도의 수고만 해도 충분할 것입니다. 제 처지도 이 괴물과 같습니다. 부디 나으리께서도 제 처지를 가엽게 여기시고 한번 더 살펴보아 주십시오.'라는 편지를 보냈어요. 한유는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명성에 올라랐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거수일투족의 유래는 당나라 사람 한유의 이야기에서 유래 되었는데요. 그 유래에서는 '아주 적은' 수고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는데요. 현재 이 고사성어를 사용하는것은 '아주 사소한 움직임'으로 약간은 변형되어 쓰여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성어의 유래는 중국의 유명한 학자인 한 유가 과거를 보게 되었을 때 조정의 높은 벼슬자리에 있는 이에게「응과 목시여인서」라는 편지 에 나왔다고 합니다. 이 편지에서 한유는 은근히 자신을 후원하길 바라는 마음을 전하면서, 그러한 행동이 얼마나 사소한 것인지를 '손 한 번 들고, 발 한 번 옮겨 놓는다'는 표현으로 묘사하였다고 합니다. '일거수일투족'이라는 성어는 우리 일상 속에서도 사소한 행동 하나하나가 큰 의미를 지닐 수 있음을 상기시켜주 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일상의 행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소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행동 하나하나가 결국은 큰 결과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깊은 통찰을 담고 있뜻으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거수일투족은 오늘날 주로 감시 라는 단어와 함께 쓰이며, 상대방의 말이나 행동 하나하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뜻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당나라 사람 한유는 어려서부터 글쓰기에 소질이 있었으나 과거시험에 매번 탈락하자 시험감독관에게 편지를 씁니다.

    큰 강의 물가에는 괴물이 사는데 그 괴물은 물에 들어가면 비바람을 일으키고 하늘을 오르락내리락할만큼 대단한 능력을 발휘하지만 물에 들어가지 못하면 아무것도 할수 없어 비웃음을 살 때가 많습니다. 만약, 힘이 있는 사람이 괴물을 가엽게 여겨 물에 넣어주려 한다면 손 한번 들고 발 한번 내딛는 정도의 수고만 해도 충분할 것입니다.

    제 처지도 이 괴물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부디 나으리께서도 제 처지를 가엾게 여기시고 한 번 더 살펴보아 주시옵소서

    이후 한유는 과거시험을 통과해 관직에 진출할수 있었고 훗날 당송팔대가 중의 한 사람으로 이름을 올리며 명성을 떨치게 되었습니다.

    일거수일투족은 손을 한번 들고 발을 한번 던지다 의 뜻을 가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