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23.04.24

자산, 부채, 자본 들의 개념정리를 하고 싶어요.

보통 빚도 자산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돈 빌려서 집사면 일단 나의 자산이라고요. 근데 또 부채라는 항목도 있고, 자본도 있는데 개념이 정리가 필요합니다 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부채+자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집을 예로 들겠습니다

    10억짜리 집을 내돈 5억+은행대출 5억으로 삽니다.

    이때 집은 내 것이니 자산이 됩니다.

    부채는 은행 대출 5억입니다. 부채는 빚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마지막 자본은 내가 낸 5억입니다. 순수한 내 재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쉽게 이야기 하면 자산은 내꺼 부채는 빚 자본은 진짜 내꺼입니다.

    집은 내 것이지만 5억만큼의 빚이 있고 5억만큼은 진짜 내 것인 자본인 것이지요

    답변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빚도 자산이 맞습니다. 간단하게 자산은 부채 + 자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이라는 것은 부채와 자본의 합산금액을 말하는 것입니다. 먼저 자산이라는 것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이나 무형의 가치물들을 이야기하는며, 회계상으로는 유동자산, 고정자산, 이연자산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채라는 것은 기업이 출자한 자본금 이외 타인으로부터 재원을 마련한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타인자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본이라는 것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것으로 회사의 순자산인 자본과 이익잉여금으로 분류가 됩니다.

    그래서 부채도 자산이라는 말을 하는 것은 자산의 개념에는 부채와 자본이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하게 되는 말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자산(資産: assets)


    자산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을 말한다. 자산은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나 회계상으로는 유동자산, 고정자산, 이연자산으로 나뉜다.


    ▶ 부채(負債: liabilities)


    기업이 출자자(주식회사이면 주주) 이외의 제3자로부터 빌고있는 자금으로, 타인자본이라고도 한다. 부채는 기업이 개인, 회사 또는 기업의 외부조직에 대하여 짊어지고 있는 금전,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할 채무나 의무를 말하며 채권자 입장에서는 기업에 대하여 가지는 금전 또는 재화, 용역에 대한 청구권을 의미한다.


    대차대조표에는 부채를 유동부채, 고정부채, 충당금으로 구분하고 있다.


    ▶ 자본(capital)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차감한 순재산으로서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분류된다. 또한 자본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 대한 기업의 소유주 또는 주주의 청구권(equities) 즉 소유자 지분을 의미한다.


    자본은 구체적인 실체를 가지지 않고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재산으로서 추상적이며 계수적인 것이다 자본의 원천은 기업주나 주주의 출자금과 기업의 영업활동결과로 발생하는 순이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은 기업이 산업활동을 하기 위한 설비, 토지, 재고, 현금들을 뜻 합니다. 그리고 부채와 자본은 이러한 자산을 구입하기 위해서 자금을 조달한 방식을 뜻 합니다. 부채는 원금 상환에 대한 의무가 있으며, 이자비용이 발생하는 반면, 자본은 그런 의무는 없는 것이 차이점 입니다.

    회계상 자산은 부채와 자본을 더한 것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