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5

효율적 시장 가설이 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효율적 시장 가설 (Efficient Market Hypothesis)가 얘기하고자 하는바가 정확히 뭔가요? 그리고 현실 세계에서는 시장이 효율적이 않다고 하던데 효율적 시장 가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23.05.25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율적 시장가설이라는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자산가격은 해당 자산의 가치에 관한 모든 공개되어져 있는 정보가 반영되어 있다는 이론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주식을 본다면 해당 주식의 가격에는 회사가 공개한 재무정보 그리고 사업성방향이나 정부의 정책에 따른 영향등이 빠르게 적용되면서 자산의 가치인 주식의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효율적 시장가설(Efficient Market Hypothesis)은 경제학에서 주식시장 등의 금융시장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현재 시장가에 대한 정보는 이미 시장 참가자들에 의해 완전히 반영되어 있다는 가설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시장은 항상 정보에 기반하여 적정 가치로 자산을 가격화하며, 투자자는 시장가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효율적 시장가설은 총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됩니다.

    1) 약한 효율적 시장가설(Weak Form Efficient Market Hypothesis): 이 형태에서는 과거의 가격 데이터와 기술적 분석만을 고려하여 시장의 미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즉, 과거의 가격 변동은 이미 가격에 반영되었으므로 기술적 분석이나 과거 데이터로 시장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가정합니다.

    2) 반강한 효율적 시장가설(Semi-Strong Form Efficient Market Hypothesis): 이 형태에서는 약한 효율적 시장가설에 추가로 공시된 정보, 재무제표, 뉴스 등의 공개 정보도 이미 시장에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공개 정보를 통해 초과 수익을 얻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가정합니다.

    3) 강한 효율적 시장가설(Strong Form Efficient Market Hypothesis): 이 형태에서는 모든 공공적이거나 비공개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시장가에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정보도 특정 개인이나 그룹이 이용하여 시장을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가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율적 시장 가설이란 시장을 둘러싼 모든 정보가 지체 없이

    금융자산 가격에 반영되는 효율적 시장에서는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가설입니다.

    비판적인 시각으로는 예를 들어 워런버핏은 주식 투자에 있어서

    상당기간 시장의 수익율을 능가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