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SK 하이닉스 HBM 독주 발표 반도체 시장 어떻게 변할까요?

SK 하이닉스가 HBM 분야에서 독주체제를 굳혔따는 분석뉴스르 봤는데요. 중국과 삼성전자가 추격을 한다고는 하는데 실제 하이닉스는 HBM 분야 1위를 계속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는 HBM4 등의 반도체 생산에서 높은 수율을 바탕으로 실적이 매우 높아 삼성전자 등을 제치고 높은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많은 인재를 모집하고 있으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다만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에서도 다른 기업들과의 수주를 통해 실적을 내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반도체 생산 등에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등 미래에 대비를 하는 점도 SK하이닉스가 긴장을 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SK하이닉스의 독주 발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이런 문제는 SK 하이닉스가 자신이 독주 발표를 한다고 그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실제 시장에서 SK 하이닉스가 어떤 퍼포먼스를 보여주는지가 관건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SK하이닉스는 현재 고성능 메모리 시장에서 약 70%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기술 문제로 뒤쫓고 있고, 미국 마이크론과 중국 업체들도 따라오려 하지만 아직 차이가 큽니다.
    특히 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주로 납품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처를 확보해 유리한 상황입니다.
    또한 반도체 조립 기술과 TSMC 같은 큰 회사와의 협력도 강점입니다.
    앞으로 AI 산업이 커지면서 HBM 수요도 늘어날 텐데, 당분간 하이닉스의 1위 자리는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1위는 계속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삼성이 최대 변수 입니다. 삼성이 HBM4 시장에서 진입을 하게 된다면, 하이닉스는 점유율이 떨어질수 밖에 없기 때문에 대형 악재로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HBM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3사(하닉,마이크론, 삼성전자) 경쟁으로 인해 마진 하락이 발생 가능합니다. 장기적으로는 하닉한테는 불안한 정세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지금의 수주만을 본다면 2026년까지는 hbm에 1인자가 sk하이닉스가 될 전망입니다.

    • 독주체제를 당분간 유지할 것이 확실하고 그 이후는 따라잡힐 수도 있지만 현 sk하이닉스의 몇배의

      노력을 해야지만 될지말지이기 때문에 반도체 시장에 hbm 독주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엔비디아도 굳이 ai 반도체 경쟁 상황에서 다른 반도체에 수주를 맡길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SK하이닉스가 AI 산업분야에서의 HBM 시장 우위를 점한것은 맞습니다.

    HBM 시장에서 50%이상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선두에 있으며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의 핵심 칩셋을 공급중입니다.

    매출 또한 두자리수 이상 급등하면서 기록 갱신을 하고 있으며 대규모 투자 계획을 가지고 성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도 기술적으로 딸리는 것은 아니나 시장 선두를 빼았겼으며 전문가에 따르면 최소 6개월이상 뒤쳐져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는 삼성에서도 HBM이 가시화될 것으로 판단은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는 HBM3E에서 시장 점유율 70%가량의 독점적 공급자 지위를 유지해왔는데, 내년 HBM4로 넘어가면 가격 프리미엄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업계에서는 중국 메모리 업체 CXMT가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와의 HBM 시장에서 많이 추격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점유율 1위를 수성하기 위해선 HBM에서의 압도적 기술 격차를 내야하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