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노란재규어97
노란재규어9721.03.25

건강검진 간기능검사 중 빌리루빈은 어떤건가요?

이번 건강검진 후 결과를 받았는데요

간기능검사 항목중 총빌리루빈 (2.04), 직접빌리루빈(0.57)로

기준치 보다 높게 나왔다고 하는데 많이 안좋은건가요?

평소에 비타민B, 비타민C, 오메가3 , 칼맥디 복용중입니다

수치가 조금 높게 나온거 같은데 주변에서 금식하면 저정도

수치가 나온다고 하는 얘기도 있어서 어떤 상황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의학박사 곽성찬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 빌리루빈이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내의 혈액내 적혈구가 약 120일간의 수명을 다하고 나면 파괴가 되면서 빌리루빈이라는 부산물이 생성됩니다.

    빌리루빈은 원래 지용성으로 이를 간에서 수용성으로 바꾸어 주게 되고 수용성 빌리루빈은 쓸개즙에 녹아서 장으로 배출되고 장을 거쳐최종적으로 대변으로 배설됩니다. 또한 일부 장내 빌리루빈은 장내 세균에 의해 변화되어 재흡수 된 후 다시 쓸개즙 혹은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간이 안좋아지게 되면 빌리루빈을 수용성으로 바꿔주는 과정이 손상을 입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으로 배출되지 못한 과잉 빌리루빈이 혈액을 타고 돌게 되면서 혈액내 빌리루빈 수치 (간접 빌리루빈)가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빌리루빈을 처리하는 과정은 정상이라도 이를 배출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경우에도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 (직접 빌리루빈)하게 됩니다.

    총빌리루빈 정상범위는 0.2-1.2mg/dL, 직접 빌리루빈 정상범위는 0-0.5mg/dL 입니다. 질문자님의 건강검진 결과는 총빌리루빈이 정상의 약 2배가량 높으며, 직접빌리루빈은 거의 정상에 가까운 것으로 미루어 볼때 간접빌리루빈이 증가한것으로 해석됩니다. 보통 총 빌리루빈 수치가 2.0 이상일 경우에 눈동자에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가까운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빌리루빈 수치가 높다는 것은 간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빌리루빈은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에 포함된 헴이라는 물질이 대사되면서 만들어지는 색소입니다. 쉽게 말해 적혈구가 파괴되는 대사과정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적혈구가 파괴되고 나타난 빌리루빈이 대변이나 소변을 통해 배출되나 그 수치가 높다면 우리 몸 속 체내에 축적되어 황달이나 피부 색이 노랗게 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간기능 대사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간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