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숙연한꽃무지69
숙연한꽃무지69
22.09.26

달러 가격이 계속 올라가는데 앞으로도 오를까요?

계속 오르면 원화가치도 떨어진다는거고 물가도 계속 오를껀데 걱정이네요... 앞으로도 계속 오를까요? 아니면 오르지 않게 정부에서 대처를 하고 있는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연말까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5%에서 3.75%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미국의 기준금리는 4.5%에서 4.75%의 금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미국과의 기준금리가 더욱 크게 벌어지게 되면서 환율은 지금보다 더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두나라의 연말 기준금리 예상치를 보고 판단하였을때는 12월 기준 환율은 하단환율 1,500원에서 상단환율 1,550원까지 보고 가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정부가 환율 방어를 위해서 금리를 상승시키겠다고는 하였으나 미국에 비해서 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환율 방어가 크게 잘 이루어지기 힘들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연준에서 금리인상등에 영향으로 이는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정책으로 단기에 그치치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가 할수 있는 방법은 기준금리인상과 통화스와프등을 이용한 외인자본이탈등을 방어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지금과 같이 한미간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정부가 어떤 정책을 사용하든 단기적으로 환율을 잠시 막을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환율이 상승하는 것은 막기 어려워 보입니다.

    •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환율이 여기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1,500~1,600원 까지도 열려 있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당분간 강달러 현상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 및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각종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당분간 달러는 1450원을 넘기는 것은

    기정사실화로 보이며 한은에서도 금리인상 등을 통하여

    환율 급등을 막으려고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