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회사어 대해 RBC가 자주니오는데 무엇 인가요?
보험회사 재무구조를 논할때 RBC가 많이 나오는데 우슨 뜻인가요. RBC가 200%가 넘어야 재무상태가 좋은 보험사라고 하는데 어떻게 산출하나요? 은행의 지급여력과 같은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쉽게 말씀드리면]
보험회사가
"우리 회사에 가입된 고객분들께 줘야 할 보장금액이 있습니다. "
고객에게 지급할 비용!
"미래에 지급해야할 돈을 얼마나 많이 준비해 뒀느냐?" 라는게
RBC(지급여력비율) 이구요!
지급여력비율은 높을수록 자산관리를 잘하고
보험금 지급준비를 잘한것으로 보아, 건실한 보험회사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윤현준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RBC(지급여력비율)
-> RBC란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보험업법에는 10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되어 있고
금융감독원에서는 150%이상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회사에 가입한 모든 가입자가 한번에 보험금을 청구하였을 때 모두 보상을 해줄 수 있는 자본량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A라는 회사의 가입자가 한번 청구하였을 때 지급해야할 보험금이 5천만원이고 보험사의 자산이 1억 이라면
RBC 비율은 200%가 됩니다.
자산이 7천5백만원이라면 RBC비율은 150%가 되는 것이지요.
만약 지급여력비율이 150% 이하로 내려갈 경우 금융감독원에서 150% 이상으로 만들라고 권고를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RBC비율이 100% 이하로 내려가면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보험금 지급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는 것이지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재철CFP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지급여력비율(RBC비율)은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 비율을 산정할 때 적용하는 것으로 보험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총조정자본과 총필요자본액 간 비율을 말합니다. 보험회사에 내재된 다양한 리스크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자기자본을 보유하게 함으로써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높이고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건전성 규제하기 위함인 것이죠 -출처:네이버지식백과
금융감독원사이트에 들어가면 각보험사별 RBC비율을 확인할수 있는데요, 그 수치가 높을수록 재무적으로 안정적이구나 생각하시면되구요. 법적으로는 100%이상, 권고사항으로는 150%이상을 넘겨야합니다. 당연히 그에 미달한 보험사는 현재 없구요.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은 그리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