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은 왜 분해가 오래걸리나요?
플라스틱은 다른 폐기물에 비해 자연분해가 엄청 오래걸리는 편인데요. 플라스틱이 다른 소재에 비해 왜 오래 걸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자연적인 물질이 아니기때문에 이를 먹고 소화시킬 미생물이 거의 없어서 그렇습니다.
플라스틱은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단단한 고분자 결합을 부수는게 많이 어렵기도 히구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자연분해가 되지 않습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경우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는 종류도 있지만 일반 PP 나 PET 의 경우는 작게 분해가 되긴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가 되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기본 물성은 가지고 있는 상태 입니다.
그래서 작게 분리가 되는 것이지 성질이 사라지는 분해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탄소 수소가 길게 연결된 유기물질이라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가 되지 않고 햇빛이나 물에 의해서 쉽게 분해가 되지 않습니다. 사실 이러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식품 용기나 물병으로 사용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석유화학으로 만들어지는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어떤 소재의 자연적 분해라함은 산소가 분자와 결합되어 산화되어 부셔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고분자이기 때문에 결합력이 강하여 분자간의 결합력을 끊고 분해되는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러한 분해에너지가 축적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여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플라스틱은 석유 기반의 고분자 화합물로 분자기 매우 크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자연계의 미생물이 이를 쉽게 분해하지 못합니다 또한 자외선이나 산소에 의한 분해도 매우 느려 자연환경에서는 수백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적 안정성이 플라스틱을 오래 쓰게도 하지만 동시에 분해를 어렵게 만드는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