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23.12.11

겨울에는 왜 잠이 많아지는건지 생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겨울에는 밤이 길어지니 잠이 많아지는 것이라고만 생각하는데요.

그렇다면 생물학적으로 겨울에는 우리 몸이 잠이 많아지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유도물질로 어둠이 찾아오면 뇌에서 뿜어져 나오는 호르몬입니다. 낮 에는 분비가 급감하고 밤에 증가하며, 분비되기 시작하면 보통 2시간정도 후부터 잠에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겨울은 해가 일찍 지고 늦게 뜨기 때문에 그만큼 멜라토 뇌 분비도 더 빨리 일어나고 더 늦게 멈추게 됩니다. 때문에 겨울철에는 왠지 더 일찍 피곤을 느껴 잠자리에 들어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 곤이 채 가시지 않아 힘겨움을 느끼게 되는 겁니다. 햇빛에 따라 스위치가 켜지고 꺼지 는 이 정직한 호르몬, 멜라토닌 때문에 계속 5분만 더~'를 외치게 되는 거죠.

    출처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공식블로그 - 겨울철 아침잠이 더 달콤한 이유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계절에 비해서 낮 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 의해서 더욱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또한 추운 날씨에 의해서 근육 등이 움츠러들면서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밖에 깜깜하니 잠을 자는 시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겨울에는 난방을 많이 해서 몸이 나른해져서 잠을 많이 잘 수 밖에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물질로 어둠이 찾아오면 뇌에서 뿜어져 나오는 호르몬입니다. 겨울은 해가 일찍 지고 또한 늦게 뜨기 때문에 그만큼 멜라토닌 분비도 더 빨리 일어나고 더 늦게 멈추게 됩니다. 때문에 겨울철에는 왠지 더 일찍 피곤을 느껴 잠자리에 들어도,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곤이 채 가시지 않아 힘겨움을 느끼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체내에서는 잠을 유발하는 '멜라토닌'이라고 하는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멜라토닌은 빛이 있는 환경에서는 분비량이 적어지고 어두울 때 많은 양이 분비됩니다. 겨울이 되면 낮이 짧고 밤이 길어지며 이로 인해 빛이 없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멜라토닌의 분비가 더 활발하게 진행됩니다. 또한 겨울철에 낮과 밤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신체 생체리듬에도 변화가 생기는데, 낮이 긴 여름에 맞춰져 있던 생체리듬이 낮이 짧은 겨울에 맞춰 변화하기 때문에 잠이 더 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면서,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햇빛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겨울에는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멜라토닌의 분비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잠을 더 많이 자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은 일정 기간 동안 낮이 짧고 밤이 길어지는 계절입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우리 몸의 생체 리듬에 영향을 주는데, 신체 내부 시계인 체계적인 생체 리듬은 자연적인 낮과 밤의 변화에 맞춰 동작합니다.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는 겨울에는 자연스럽게 우리 몸의 수면 패턴도 변화하여 잠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겨울은 외부 환경이 추워지는 시기이며,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더 많은 에너지 소비는 신체적으로 피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은 휴식과 잠이 필요해지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11

    겨울에는 온도가 낮아지고 외부 환경이 불편해지기 때문에 우리의 체온 조절이 중요한 이슈가 됩니다. 우리 몸은 겨울철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체온을 유지하려는 동작을 합니다. 그래서, 해로운 온도 조건을 피하기 위해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잠을 더 많이 자는 것입니다. 이러한 체내 대사 과정의 조정은 우리를 추운 겨울 동안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려는 생존 본능에 부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