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hswisdom
hswisdom23.03.19

성경 외경은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는지요??

성경 외경은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는지요??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아우르는 성경 외 정경으로 인정되지 않은 외경의 구성과 내용이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외경에 속하는 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에스드라서》 《제2에스드라서》 《토비트》 《유딧》 《에스델》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예레미야의 편지》 《아자리야의 기도와 세 젊은이의 노래》 《수산나》 《벨과 뱀》 《므낫세의 기도》 《마카베오상(上)》 《마카베오하(下)》 등입니다. 영어로 편집된 대부분의 외경은 《예레미야의 편지》를 《바룩서》의 마지막 장으로 취급하여 두 권을 하나로 묶고 있는데, 이 경우 외경은 총 14권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 외경, Apocrypha"은 예수, 그의 가족 및 그의 직계 추종자들의 이야기를 특징으로 하는 비성서적 기독교 문학을 가리킵니다. 내용과 장르가 신약에 포함된 텍스트와 유사합니다. 즉, 외경 복음서, 사도행전, 편지, 묵시가 존재합니다. 천주교에서는 이런 작품들을 제2경전으로 인정하지만, 개신교는 이런 작품들을 외경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 성경 외경의 구성은 다양하며, 교파나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성경 외경은 다음과 같은 성서들을 포함합니다.


    1. 아포크리파: 구약성서 외의 성서로, 구약성서의 일부인 히브리어 원본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리스도교 성경의 일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포크리파에는 토비트서, 유디트서, 막카비서 등이 포함됩니다.


    2. 데드씨 스크롤: 이스라엘 Qumran에서 발견된 성서로, 구약성서의 일부인 히브리어 원본과 유사한 언어로 쓰여져 있습니다. 데드씨 스크롤에는 에녹서, 전상서, 마니 선언서 등이 포함됩니다.


    3. 기독교 권장서: 교회에서 자주 사용되는 성서로, 성경 외경에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기독교 권장서에는 신약성서의 일부인 바울서신, 고대 교회 신약성서, 그리고 니케아 신조 등이 포함됩니다.


    4. 에칭: 기독교에서는 성령 강림 축일인 빙화일(Epiphany)을 맞아서 쓰이는 성서로, 예수 그리스도의 성찬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5. 그외의 성서: 기독교 성경 외경에는 위에서 언급한 성서 이외에도, 예수 그리스도의 수행과 삶을 다룬 아니케, 토마스에 의한 금언, 바르나바서, 헨노크서, 유다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성경 외경(外經, Apocrypha)은

    기독교의 교파에 따라서 조금씩

    의미를 달리쓰는 말이다.


    개신교에서는 위경(僞經)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보편적인 의미는 위와

    상통하지만, 그 뿐만 아니라 천주교회와 동방정교회에서 정경으로 보는

    제2 경전을 포함하여 일컫는 점에서

    관점의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의 기독교회 중 개신교회가

    다수이므로 대부분 외경 의미는

    구약성경에서 히브리어 원본이 없거나 헬라주의 영향을 받은 문헌인

    동방정교회와 천주교회의 제2 경전과

    의미가 같다.

    -출처:위키백과


  • 보통 외경이라고부르는책은 영감에 의하여서 된것이 아니며,경전의 일부도 아니다, 따라서 하나님의 교회안에서는 권위가 없다,또한 다른인간책저서보다도 가치가 없다,

    눅24/44.롬3/2, 벧후1/21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