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한국어 문장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향가뿐만 아니라 다른 문서나 책에도 사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고려 시대의 역사서인 <고려사>나 <고려사절요> 등에도 향찰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발견된 자료로는 향가 이외의 문서나 책에서 향찰이 사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문을 우리 말로 표기 하는 방법이 2가지가 있습니다. 향찰과 이두인데요. 이 두가지의 차이점은 바로 향찰은 향가의 표기에 사용한다는 것 입니다. 전면적인 우리식 표기 이두는 주로 공문, 관용문 등에 쓰임. 조사, 어미, 일부의 부사, 용언에 쓰인다는 것이 차이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