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사사오입 개헌은 왜 사사오입 개헌이라 하나요?
사사오입 개헌의 주요 내용은 무엇이고, 개헌 내용에 어떤 문제가 있나요. 그리고 무엇때문에 사사오입 개헌이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사사오입 개헌은 1954년에 있었던 2차 개헌을 일컫습니다. 195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수당이 된 자유당은 이승만의 종신집권과 자신들의 기득권 보장을 위해 개헌안을 상정했습니다. 그 내요은 초대 대통령에 한하여 중임제한을 없애는 것을 담고 있습니다. 즉 이승만 한 사람에게 주는 혜택을 주는 헌법을 개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표결 정족수는 정원 2/3 이상인 136명이 넘어야 했는데, 실제 투표 결과 135명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개헌안은 부결처리되었습니다. 그러나 사사오입(반올림)을 적용하여 가결로 번복된 사건이 일어난 것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헌정사상 비민주적인 사건으로 유명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연임을 위하여 개헌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사사오입 개헌이었습니다. 국회 정족수 2/3가 찬성을 해야 하며, 이 숫자는 135.333명 이상이었습니다. 그런데 투표결과 135명이 찬상하면서 0.333명이 부족하여 개헌이 반대된 것이죠. 하지만 이에 반하여 생각한 것이 0.333명은 사람으로 볼 수 없고, 0.333명이란 건 반올림에 따라서 버리는 숫자로 생각하여 135명만 찬성해도 통과라는 논리를 펼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