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17

구름의 색깔이 하얗게, 까맣게 보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을 보면 하얀색인데요.

비가올때는 검은 먹구름입니다. 구름이 하얗고 까맣게 보이는 원리는 무엇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17

    안녕하세요. 현명한악어152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름이 얇으면 태양빛이 구름을 통과하면서 여러 번 산란되어 하얗게 보입니다. 구름이 두꺼우면 태양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되어 검게 보입니다.

    • 하얀 구름

      • 얇은 층운과 고층운은 하얀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 층운은 하늘을 가득 채우는 옅은 구름으로,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면서 여러 번 산란되어 하얗게 보입니다.

      • 고층운은 얇고 뭉쳐 있는 구름으로,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면서 산란되어 하얗게 보입니다.

    • 검은 구름

      • 뇌우를 일으키는 적란운은 검은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적란운은 매우 두꺼운 구름으로,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지 못하고 대부분 흡수되어 검게 보입니다.

      • 적란운은 뇌우를 일으키는 구름으로, 강한 바람과 천둥, 번개를 동반합니다.

    구름의 색깔은 날씨 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얀 구름이 많으면 날씨가 맑을 가능성이 높고, 검은 구름이 많으면 날씨가 흐릴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