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빼어난안경곰147
빼어난안경곰14723.09.23

구름에 색은 어떤원리로 정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흔히 비가 올때는 먹구름이라고 해서 구름에 색이 짙은 회색이 되고 일반 맑은 하늘일때는 하얀색 구름이 생기고 그런데 이렇게 구름에 색은 어떤 원리로 하얀색 구름이 되고 회색구름이 되고 그러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은 주로 빛의 산란 현상에 의해 결정됩니다. 구름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빛이 이러한 입자에 부딪히면 산란되어 다양한 색상을 보여줍니다.

    일반적으로 햇빛은 흰색 빛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구름이 있는 대기 중에서 햇빛은 구름의 입자에 부딪혀 산란됩니다. 이 때, 빛의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 산란되는데, 이를 광의 산란이라고 합니다.

    광의 산란에서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더 강하게 산란되므로, 구름이 푸른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일출이나 일몰 시간에는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져 더 많은 산란이 발생하므로 구름이 빨간 또는 주황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맑은 하늘에서 볼 수 있는 하얀 구름은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작은 물방울은 빛을 모든 방향으로 산란시키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비가 올 때 볼 수 있는 먹구름은 큰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큰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는 빛을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