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생산되는 흡수식냉동기 냉각탑의 설계 용량은 어떤 기준이 추세인가요?
요즘흡수식 냉동기 냉각탑 용량은
원래 이론적으로는
냉동기 용량의 1.5 배로 산정하여 생산되는 것으로 압니다만
제가 공부할 때가 이미 30년 다 되어가는데
지금 대한민국 기후는 그때와는 많이 달라졌는데요
예전 장비들은 다들 1.5배 용량이고
따라서 달라진 기후대비
그 용량으로는 도저히 냉각탑 열량 배출이 딱히 좋지 못합니다.
요즘은 냉각탑 용량은 어느 정도로 설계하는 추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현재 흡수식 냉동기 냉각탑의 설계 용량은 과거의 1.5배 기준에서 점차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후 변화와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냉동기 용량의 1.2배에서 1.3배 정도로 설계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냉각탑의 열량 배출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운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향입니다. 또한, 기후 데이터와 환경 변화에 따라적절한 안전 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신 설계 기준은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수있도록 조정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기후 변화 대응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전의 1.5배 용량으로는 충분한 냉각 성능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더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용량을 조정하는 추세가 있습니다.
최신 기술과 설계
최신의 흡수식 냉동기 시스템은 더 효율적인 냉각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고압 에너지 세이빙 제어 및 ai저압 쾌적냉방 제어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고 냉매배관 사이즈를 축소하여 추가 냉매 충진량을 감소 시킵니다.
용량 산정
현재는 기후 조건과 실제 운영 데이터를 고려하여 용량 산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냉동기 용량을 1.5배에서 2배 사이의 용량으로 설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제 운영 조건과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더 높은 용량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접근과 에너지 효율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한국기계연구원에서 개발한 전기화학식 친환경 냉매 압축기는 기존 대비 60%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냉동기 용량의 1.5배로 냉각탑을 설정했지만, 최근에는 대온도차 시스템을 적용하여
냉각수 온도차를 10°C(41~31°C)로 확대하여 냉각탑 용량을 30% 감소 시킬수 있습니다.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냉각탑 용량을 줄이면서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 추세이며 ,
현재 냉각탑 용량의 비율은 해당 프로젝트 별로 다를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존 1.5배도 조금 더 낮은 1.2-1.4배 정도로 설계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