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나라 역사 중 아래에서부터의 개혁이라고 하면 무었을 말할까요?
역사를 공부하다 위에서부터 개혁 아래서부터의 개혁 이런 문구가 나오는데 위 두 말은 무었을 말하는걸까요?
개혁의 방식이 다르다는 거 같은데 말이예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혁의 중심세력을 소수 엘리트로 보면 위로부터의 개혁이라고 일컫고
반대로 다수의 민중 세력을 개혁의 중심으로 두면 아래로부터의 개혁이라고 말합니다.
갑신정변의 주도세력인 급진개화파의 관점은 문명개화론 또는 사회진화론입니다.
즉, 조선이 허약하게 된 <주된>이유를 제국주의 침략보다는 내부의 허약성에서 찾았고
그러한 내부의 허약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무식한> 민중이 아니라 소수의 <똑똑한>엘리트가 중심이 되어 개혁을 일궈야 한다고 보았죠. 그래서 위로부터의 개혁이라고 본 것입니다.
그러나 동학농민운동 세력은 당시 조선 농민들의 삶을 압제하는 요소가
일본 등 외국 자본의 침투로 인한 경제 기반 파괴를 매우 중시했고, 다수의 농민을 <무식한> 피지배층으로 깔보는 조선의 부패한 관료체제 역시 개혁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농민등의 민중세력의 요구를 개혁의 중심이 두었고, 그래서 아래로부터의 개혁이라고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