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고수레는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서 허공에 던지는 행위인데, 그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고수레는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서 허공에 던지는 행위인데, 그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고수레'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고수레의 어원은 모두 민간어원(출처 불명의 전승)이기 때문에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

    민간어원의 예시로는

    1. 고조선 시대 고시(高矢)라는 사람에게 농사짓는 법을 배운 사람들이 감사의 마음으로 음식을 먹을 때 일부를 던지며 '고시네'라고 말한 데서 유래된 것

    2. 곡식의 신(神)인 고씨(高氏)에게 제물을 바치는 '고씨례'(高氏禮) 의 변형이라는 것

    3. 고씨 성을 가진 이가 굶주려 죽자, 마을 사람들이 이를 불쌍하게 여겨 음식을 나눠 주었다는 것

    4. 도선국사(통일 신라의 유명한 승려)는 성씨가 고씨인 어머니의 무덤을 전라도 만경뜰에 만들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무덤에 묻힌 도선국사의 어머니에게 진지 잡수라고 음식을 나누자 그해가 엄청난 풍년(豐年)이었기 때문에

      그걸 반복 했다는 것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고수레는 한국의 전통적인 풍습 중 하나로, 음식을 먹기 전 조금 덜어 땅이나 하늘에 바치는 행위입니다. 이는 보통 산이나 들에서 음식을 먹을 때 이루어졌으며, 하늘과 땅의 신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잡귀나 악귀를 쫓기 위한 의도로 행해졌습니다. 특히 농경 사회에서 자연의 혜택을 받는다는 생각이 깊어 산신이나 조상신에게 존경과 감사를 표현하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