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우리나라 대표단이 트럼프 대통령 대역과 역할극까지 했다고 하는데 효과가 있었을까요?

외교 협상에서 인물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역할극, 단순 표현)은 어떤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을까요? 다른 글로벌 상대국과의 협상에서도 이 전략을 응용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협상을 대비하는 등 하였기에

    어느정도의 효과가 있을 수 있지 않았나 싶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그만큼 협상에 돌발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 뭐 그 방법이 좋고 말고를 떠나서 관세에 대해 총력전으로 맞썼다는 것을 둘러 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 우리나라의 최선을 다했지만 그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까지는 어려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무역정책으로 협상력을 강력하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케이스로 준비하는 과정이라고 보며 이에 대한 충분한 연습이 있었다면 효과가 있었을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대표단이 트럼프 대통령 협상 전에 역할극과 대역 연습을 진행한 것은 실제 협상시 트럼프 특유의 직설적이고 즉흥적인 스타일을 대비하는데 효과적이었다고 합니다. 사전에 다양한 시나리오와 답변 방식을 준비한 덕분에 침착하게 대응하며 관세율을 일본 및 유럽과 같은 15% 선으로 조정하는 등 선방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리허설 전략은 상대 지도자의 성향을 분석해 맞춤형 대응력을 높이므로, 협상 당사자의 예측불가성과 변수 대응이 중요한 외교 협상에서 다른 국가와의 협상에도 충분히 응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 스타일로 질문해보고, 어떻게 답변할지 연습하는 등 굉장히 많은 시나리오를 생각하며 최종 결정권을 쥔 트럼프 대통령과의 담판을 위해 협상단은 치밀하게 준비해 효과를 본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번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마도 역활극까지 했다는 것은

    그 만큼 우리 협상단이 정말 최선을 다헀다고 보여집니다.

    그런 결과로 15퍼센트라는 그래도 긍정적인 수치를 받아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런 방식, 좀 당황스럽긴 하지만 생각보다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같은 인물은 메시지보다 인물, 분위기, 직관적인 표현에 더 반응하는 스타일이라 그런 접근이 의외로 감정적 설득력을 줄 수 있거든요. 외교 협상이라는 게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밀당이라, 딱딱한 문서보단 눈에 확 들어오는 퍼포먼스가 더 오래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이런 전략은 상대국 문화와 인물 특성에 따라 잘 조절해야 합니다. 유럽이나 동남아처럼 형식 중시하는 쪽엔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으니까요. 통상협상 실무에서 느끼기에는, 가끔은 이렇게 튀는 전략이 교착 국면을 푸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조건만 맞는다면 다른 협상에서도 충분히 고려해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