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나도빠!!
나도빠!!24.10.11

삼성이 현재 상태로 가면 망할 수도 있는 건가요?

요새 삼성이 위험하다고 계속 그리고 반도체쪽 사장이 최초로 미안하다고 사과까지 하고 있는데

삼성 위기론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삼성이 TSMC한테도 밀리고 하이닉스한테도 밀리고 있는데 망할 수도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 반도체 전문 회사가 있는 건데요 삼성 같은 병원은 반도체만 하는 것이 아니지요 컴퓨터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 여러 가지를 하고 있고 삼성은 전자뿐만 아니라 증권 보험 뭐 하는게 굉장히 많습니다 그래서 서로가 서로를 먹여주고 있는 거지요 삼성 자체가 망할리는 없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삼성이 망할거라는 생각은 잘 들지 않지만 어느 회사든지 사정이 안좋아지면 망할수도 있기는 있겠지요.

    하지만 삼성정도 되는 회사라면 위기시에도 잘 해쳐나가리라 믿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이 망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워낙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양하기에

    망하지는 않겠지만 현재처럼 경쟁력에서 계속 밀리다보면

    이에 따라서 기업 규모가 축소되는 등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삼성이 현재 상태로 가면 망할 수도 있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삼성도 절치부심하지 않으면 망할 가능성을 배제하긴 힘듭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망할 수도 있습니다만

    현재로서 분명 해결책을 강구할 것이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방향을 찾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삼성은 국가의 기반이 되는 사업이라 쉽게 무너지진 않을 것입니다.

    기술력도 충분히 갖추고 있구요.

    다만 너무 안일하게 중국,미국만을 보고 해왔던 것이 큰 오산인데

    획기적으로 기술력을 높여 다른 나라의 비중도 높일 필요가 있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영업이익이 떨어지고, 예측치에 못미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매출액은 증가했고 반도체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사과문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 확실한 개선을 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그렇다면 보다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삼성전자가 망할 경우 국내 경제에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쉽게 망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10.11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현재 반도체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기업이 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TSMC와 SK하이닉스에게 파운드리 및 HBM 시장에서 밀리고 있다는 평가가 있고, 삼성 내부에서도 위기론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대대적인 기술 쇄신과 조직 개편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미래는 단기적 어려움보다는 장기적인 기술력 회복에 달려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TSMC의 예상치를 상회한 9월 실적에 미국 반도체 종목과 SK하이닉스는 동반 상승 중인데요. 삼성만 하락하고 있습니다. D램 하락기 초입으로 보이고, 메모리 반도체 기업이 HBM 공급에 초점을 맞추면서 범용 D램 수급이 빡빡해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PC나 스마트폰용 수요가 부진해 더는 같은 얘기를 기대하기 어려워졌습니다. 중국의 추격도 무시못할 수준이구요.

    까딱하다간 과거 모터로라 노키아, 소니 꼴 나면서 망할수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