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의 소통이 부족한 아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입니다.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었는지 물어도 답도 잘 안하고 소통도 하지 않으려고 해서 걱정입니다. 어떻게 개선해야 할까요?
가족과의 소통이 부족해서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대답을 하지 않는 것이 사춘기의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정기적인 가족 모임이나 대화시간을 마련해 서로의 생각과 감정을 나누는 기회를 주세요.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현재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면 '
우선은 아이의 사춘기를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춘기에 접어들면 예민하고 민감함이 폭발하기 때문에
되도록 이면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하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화를 시도 하고자 한다면 식사를 마치고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진 후, 오늘 하루 어떻게 보냈어? 라는 가벼운 질문을 시작으로 대화를 시작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대화를 자체 거부하고 소통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아이에게 부드러운 말투로 이렇게 전달을 해주세요.
사춘기 라는 것은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두렵고 무서울 수 있어
그리고 하루를 보내면서 힘듦과 고민이 있다면 혼자 속으로 끙끙 않지 말고 엄마.아빠에게 이야기를 해주면 엄마.아빠가 너의 도움이 되어줄 수 있으니깐, 언제든 고민이 있으면 엄마.아빠에게 와서 이야기를 해줘 라고 전달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정유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를 기다려주는 건 어떨까요? 원래 아이가 친근감을 잘 표현한 아이였다면 부모님이 자신의 시기가 잘 지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느낄거예요. 그동안 관계를 잘 형성해두고 서로 신뢰로운 관계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 들었다면 아이가 작은 굴속으로 들어 가는 것과 같습니다
아이에게 관심을 가지거나 아이를 귀찮게 한다면 아이는 더욱더 깊은 굴속으로 들어 갑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아이가 말하고 싶은 것이 있으면 잘 들어 주면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사춘기가 지나가고 나면 원래 다정한 아이로 돌아 옵니다
아이를 믿는 다는 눈빛으로 잘 지켜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혜진 보육교사입니다.
사춘기에는 그만큼 개인의 시간으로 인해 가족과의 대화가 단절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멀리서 응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소통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긍정적인,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세요. 무리해서 대화를 하고자 시도하기보다는 언제든 기다리고 있으니 편하게 얘기를 해달라고 말해 주시면서, 평소 식사 시간이나 여행 등 아이와 교류하는 시간을 기회로 삼아서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고, 래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가족간에 소통이 부족하다면 소통의 시간을 매일 가져서 서로 대화를 하는시간을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