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밥을 한자리에 앉아서 먹지를 않습니다.
7세 아이이고 항상 상상력이 풍부합니다.
상상했던 역할을 역할극으로 노는걸 좋아해요.
그런데 이게 조금 영향을 주는게 밥을 먹을때에도 영향을 줍니다. 밥 먹을때에도 머리에서 생각난 상상을 현실에서 충실히 구현하느라 밥을 1시간 넘게 먹을때도 있습니다.
어느날은 포켓몬 마스터가 되겠다며 포켓몬과 열심히 훈련을 하고 있고, 어느날은 널이공원 갔다가 온게 재미있었다며 놀이공원을 그리고 색칠을 합니다. 아니면 장난감을 가지고 놀면서 밥 먹는 시간이 늘어나구요.
유치원에서는 이렇지 않은것같은데 집에서는 유독 심하네요.
이런 부분을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한 자리에서 먹지 않는 게 습관이 되어 버린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식사 예절에 관해서 다시 지도를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선 모든 아이들이 자리에 앉아서 먹기 때문에 아이도 식사는 바른 자세로 앉아서 먹어야 한다는 것은 충분히 인지를 하고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사 시간을 정해두고 그 시간 안에서만 아이가 밥을 먹을 수 있도록 연습을 하고 밥 먹는 것에만 집중을 할 수 있도록 다른 것은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상상력이 많은것은 잘못된것이 아닙니다.
다만 식사시간이나 다른 활동시간에는 아이와 함께 이야기하여 지킬수있도록 교육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 양육자와 선생님의 차이에 따라 아이들의 행동이 바뀌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가정에서도 선생님을 언급하여 행동을 지도해주시면 아이들이 의식하여 행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 식사시간과 식사량을
정해주시어 식사를 하는 습관을 가지게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정해진 식사시간이 지나면 식사를 그만하게 하시어 아이의 식사시
돌아다니는 등의 행동을 바꿀수 있습니다. 아이가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해서 식사시간을 연장해주는 등의 행동은 아이의 올바른 식습관 정착에 방해가 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역할극 놀이를 하던 장난을 치던
훈육의 태도가 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육을 하실때에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한 자리에서 밥을 먹지 않는다 라는 것은 집중력에 짧다 라는 것입니다.
우선은 아이에게 밥을 식탁에서 앉아 먹어야 한다 라는 것과 밥을 먹을 때는 돌아다니면서 먹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밥을 먹으려고 할 때는 주위에 물건들을 다 정리 하도록 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바른 식습관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보여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바르게 앉아 있을때 칭찬을 해줘서 그 행동을 강화하게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