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2.25

ADHD약을 복용하다가 중지하고, 기간이 좀 지난 후에 다시 복용해도 되나요?

나이
4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이가 ADHD 진단을 받고 약을 복용하다가 어느 순간 호전된 모습을 보여 약복용을 중단했는데요.

혹시 다시 증상들이 심해지면 그 약을 복용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ADHD약은 마음대로 끊었다가 먹는 약이 아니기때문에 호전되더라도 끊지말고 일정기간이상 먹어야해요.

    중단할때는 의사 진료를 통해 결정해야하구요.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추천★ 눌러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ADHD약은 임의로 중단하는 약이 아니며 다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갖고있는 약을 먹여서는 안됩니다.

    의사와 상의하세요.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답변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상일 약사입니다.

    해당 약은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해서 임의로 중단해서는 안되고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의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해당 약은 특별한 부작용이 없다면 진료보실 때 의사선생님이 얘기하신 치료기간동안 복용하는 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임의로 중단하거나 조절을 할만한 약은 아닙니다. 중단이나 재시작은 모두 주치의와 상담해서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ADHD 약을 복용하시다가 중단 후 다시 복용하는 것과 관련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필요하다면 다시 복용 하실 수도 있습니다. 다만 임의로 중단 혹은 재복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하시고 용량이 적절한지 등을 판단한 후에 조절하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ADHD약을 복용하다가 중지하고, 기간이 좀 지난 후에 다시 복용가능하나, 임의로는 중단하거나 다시 복용하지 말고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에 조절을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ADHD의 근본 원인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주의집중을 유지하는 기능을 조율하는 뇌 영역의 성장이 미숙한 것입니다.

    특히 자신의 행동과 충동을 통제하지 못하는 안와전전두엽이 미숙한 경우에는 과잉행동과 충동성의 문제를 많이 보이고,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배외측전전두엽이 미숙한 경우에는 시끄럽거나 자극적인 상황에서 주의집중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2-3가지 일에 동시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문제를 보이게 됩니다.


    ADHD 아동의 70%가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며, 1/3은 성인기까지 중등도 이상의 과잉행동, 주의력결핍, 충동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ADHD 증상은 청소년시기에 두드러질 경우 성인ADHD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약을 끊는 시점을 정하는 것은 아이를 관찰하면 알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약을 먹는 상황에서 아이가 또래와 비교할 때 차이가 없을 정도로 잘 지내야 합니다. 그리고 가끔 약물 복용을 건너뛰었을 때 약을 복용할 때와 행동에서 차이가 거의 없어야 합니다. 약효가 없을 시간대나 가끔 약 복용을 건너뛰었을 때도 행동이 안정적이고 좋아진 경우죠. 그렇다면 당연히 약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제 아이가 ADHD에서 벗어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약료 게시판에 문의해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ADHD약을 드시다가 호전된 모습이 보인다고 해서 약복용을 중단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약을 처방해준 의사와 다시한번 상담하여 계속 먹을지, 혹은 약 조정을 할지 처방을 새로 받아 드시는 것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ADHD는 단기치료보다는 수 개월~ 1년 이상의 기간동안 약물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항상 일정 농도의 약물이 체내에 존재하는 것이 치료에 중요합니다. 따라서 필요 시에만 복용하기 보다는 꾸준하게 복용하는 것이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그러므로 새로 복용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약물의 용량조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진료 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ADHD 진단을 받은 후 복용하던 약은 임의로 복용을 시작하기 보다는 전문가의 진단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