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유연한파랑새97
유연한파랑새9723.09.27

고금리를 유지하면 물가가 왜 잡히나요?

미국이 고금리 기조를 유지해서 물가를 안정화 시키겠다고 하던데

금리를 올린다고 물가가 잡히는 이유가 먼가요?

빛갚느라 쓸돈만 적어지는거 같은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빚갚느라 쓸돈이 적어지면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물가가 잡히게 되며,

      시장에 풀리는 돈의양도 줄어들기 때문에 물가를 잡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빛갚느라 쓸돈만 적어지는거 같은데요' 와 일맥상통한 부분입니다. 저금리 기조일 때는 많은 사람들이 대출을 일으켜 시장에 유동성을 증가시킵니다. 그러면 화폐가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른 물가상승이 야기됩니다. 고금리 기조일때는 많은 사람들이 대출이자 부담 및 고금리에 따른 이자수익 위해 은행 등으로 돈이 옮겨지고 되고 시장에는 유동성이 감소하게 됩니다. 돈이 귀해지면서 화폐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가가 잡히게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높을수록 가계에선 소득대비 이자가 늘어 소비금액이 줄고, 기업은 수익이 줄어 투자 고용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금리가 유지되면 물가가 안정된다고 하는 것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대출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게 되고 기존에 대출을 받았던 이들은 가처분 소득이 감소하게 되면서 소비가 감소하게 되요. 그럼 공급량이 일정한 것에 비해서 수요가 감소하게 되면서 물건의 가격은 하락하거나 혹은 유지가 되면서 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에 풀려있는 통화를 흡수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시중에 풀려있는 통화량은 감소하게 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물가가 잡히게 됩니다. 물가는 시중에 풀려있는 통화량이 많을수록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높게 유지하면서

    시중의 돈을 은행이 빨아들이게 되고

    이에 따라서 시중의 돈의 양이 줄어 물가를 잡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