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건장한앵무새53
건장한앵무새5322.12.14

금리가 올라가면 왜 물가가 안정된다고하는건가요?

뉴스에보면 금리를 올리면 물가상승률이 안정이되어 금리인하를 고려하지않는다고 나오는데 금리가 오르면 왜 물가가 안정이 되는건가요? 이자부담때문에 더 안좋은게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사람들이 돈을 은행에 맡기는 등 합니다.

    이로써 중앙은행이 시중의 통화를 빨아들이게 되고

    시중에 돈이 줄어듬에 따라서 물가가 상승을 제한시키기 때문에

    안정이 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금리가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사람들은 은행 저축과 같은 금융 상품 쪽으로 더 신경을 쓸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물건, 상품에 대한 수요가 떨어 집니다. 물가가 하락하여 안정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자율결정이론에 따르면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수요가 증가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각각의 이자율 수준에서 종전보다 화폐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화폐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종전의 균형이자율에서는 화폐의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균형이자율은 상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은 재화나 용역 등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뜻 합니다. 반대 급부인 화폐의 가치는 하락하는 것 입니다. 이는 보통 양적완화, 금리 인하 구간에서 나타납니다.


    금리는 화폐의 가치입니다. 금리를 인상시키면서 현금에 대한 가치를 올리고, 이렇게해서 수요를 억제시켜서 인플레이션이 완화하도록 유도하는 것 입니다.


    최근 금리 인상이 되면서 예금금리 또한 많이 올랐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사람들은 당장 무언가를 소비하기보단, 저축 증가로 이어지고, 소비가 하락함에 따라서, 기업들의 재고 증가로 이어지고, 물가는 하방 압력을 받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 중 하나는 시중에 통화량이 많아서입니다.(코로나로 재정지출이 많았음)

    금리가 인상되면 결국 시중에 통화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대출이 줄어듦)

    통화량이 감소하면 물가도 어느정도 안정된다고 보는거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