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야야야123
야야야12323.11.17

대한민국 이름은 왜 세글자인가요?

외국보면 길거나 짧은 여러 이름들이 많은데

한국사람들은 두글자가 보편적이잖아요

성 하고 이름으로

이 이유가 뭔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대단한타조105입니다.

    한국의 성명학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겁니다.

    성씨는 아버지를 이어받아 하늘 (天),중간 자는

    학렬(돌림자)이거나 본인(人)이며,마지막 자는 학렬자나 땅(地)을 의미하여 천지인을 의미합니다. 도장을 새겨도 인(印)을 더하려면 4자가 가장 무난하니 그냥 전통적으로 내려온 거지요.

    최근엔 그런 제한이 없어졌으니 외저나 복성 두음법칙까지 제한이 사라졌고 순한글 이름도 많이 씁니다. ㅡ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7

    안녕하세요. 행복한강성가이버입니다.
    우리나라 이름이 보통 세글자이긴한데 꼭 세글자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조선시대 왕족들은 대부분 두글자였고 독고XX같이 네글자 이름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주 오랜 옛날에는 이름이 더 길었습니다. 예를 들면 박혁거세 등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날카로운갈매기574입니다.

    중국의 영향입니다. 한국의 성명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중국의 성명은 보통 성과 이름으로 이루어지는데, 성이 한 글자이고 이름이 두 글자입니다. 한국의 성명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성과 이름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름은 두 글자가 보편화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