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이 오면 가까운 곳의 글씨가 오히려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얼마 전부터 노트북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안경점에 가니 안경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노안이 온 거라고 하네요. 노안이 오면 먼 곳은 잘 보이는데 가까운 곳의 글씨가 오히려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노안이란 보통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가까운 곳을 잘 볼 수 없게 되는 안과적 변화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40대 중반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눈의 수정체가 점차 더 단단해지고 덜 유연해지면서 발생합니다. 수정체는 원래 초점을 맞추기 위해 형태를 바꿀 수 있는 구조물인데,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조절 능력이 감소됩니다. 이렇게 되면 가까운 곳을 볼 때, 특히 책이나 스마트폰 같은 작은 글씨를 읽을 때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지죠.
노안이 오면 먼 곳은 비교적 잘 보이는 이유는 수정체가 먼 거리의 물체를 볼 때는 벗어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가까운 물체를 보기 위해서는 수정체가 두꺼워지며 초점을 맞출 수 있어야 하는데, 노안으로 인해 이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시력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안경점을 방문했을 때 안경의 문제보다는 노안의 시작이라는 조언을 받으셨을 겁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노안은 근거리 조절 능력의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의 눈은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의 형태를 변화시킵니다.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눈의 조리개 역할을 하는 렌즈가 두꺼워져야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렌즈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조절 기능이 약해지면서 가까운 곳을 제대로 볼 수 없게 되는 거죠
이로 인해 가까운 글씨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거나, 심지어 전혀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는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변화이며, 눈의 조절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에요
반면, 먼 거리는 상대적으로 눈의 조절이 덜 필요하기 때문에 잘 보입니다. 노안 초기에는 먼 거리는 여전히 선명하게 보이지만, 가까운 글씨를 보기 힘들어지죠. 그래서 노안이 시작되면 근거리 시력에 문제가 생기면서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근시용 안경, 다초점 안경, 또는 돋보기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