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12.03

현재 전기기능사 필기 준비 중입니다.

지방대 4년제 전기공학과를 다니고 있으며 현재는 군대 전역 후 내년 3월 복학 전까지 뭘할까 하다가 전기기능사를 따보자 생각을 해서 필기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 나중에 전기기사를 딸건데 굳이 왜 전기기능사를 공부하냐? 그냥 다른 공부나 해라 라고 많이들 하는데 정말로 헛수고인가요? 의문이 생겨 질문남김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김규빈 전기기능사
    김규빈 전기기능사
    한국전력공사 전력공급부
    24.12.06

    안녕하세요.

    기능사공부하시는분이 전기를 처음공부하시는분이라면 기사시험전에 기초공부 및 실기를 통해 설비를 만져보는게좋다고 생각하는데 전기학과이시니 좀 애매하다고생각해요. 기능사 실기의경우 공부하실때비용도 좀 들으실거니..

    공부하시는건 좋은데 전기기사를 나중에 취득하실거면 기능사말고 기사공부를 미리 꾸준히 하시다가 시험가능할때 한번에 합격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사 자격증 응시 조건은 관련학과 졸업 하거나 실무 경력이 있어야 시험에 응시 가능 합니다. 졸업 후 전기기사 바로 취득하거나 아니면 전기기능사 같은 경우 실기 과목이 전기설비 작업이 있기 때문에 공부하면 전기기사 공부 할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혁태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능사를 안따도되는데 전기기사를따면되는데

    차이가있읍니다

    기능사는 필기와실기가있고요

    실기는 자기가 회로를꾸미는시험입니다

    기사는 이론으로만실기를보지만

    기능사는 공구를손수잡고 회로를보면서 꾸미는시험차이입니다

    실전이지요 ㅎㅎ

    이차이를판단하시면 실기쪽.현장적응시빠르겠죠

    기사는실기가 이론을보는것과

    기능사는 직접회로를완성하는는차이

    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문수 전기기사입니다.

    네~ 시간 낭비입니다. 갯수 많아서 좋을것도 없구요. 전기산업기사도 보험으로 접수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다행히 기사랑 동시합격이면 좋겠지만 산업기사 따면 안하시려고 합니다. 차라리 시간되신다면 인강들으면서 도서관에서 기사공부 추천드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산업기사를 준비히는게

    더 

    닛을 수도 있아버입니다 기능사는 실제 작업자의 자질을 히는것이지만, 독도등 설계, 개념의주의 산업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는것이

    낫지 않을까싶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저도 옛날에 전기기능사를 취득한 이후 전기산업기사를 취득하였습니다 전기기능사로는 처음에는 실무를 하고요 전기 기사부터는 보통 관리를 합니다 그런데 전기기능사와 전기기사는 아예 다른 거라고 봐도 됩니다 전기기능사를 취득을 하는 것은 필답형이고요 전기기능사는 실무입니다 선도 직접 벗기고 배관 배선도 하고 통전도 시킵니다 이거를 지나서 그냥 관리자가 되겠다라는 말은 자멸하는 길입니다.

    어차피 할 전기일이면 다양한 무기를 갖고 있는 것이 좋고요 전기는 기능사와 전기 기능장이 한쪽으로 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진짜 전기를 한다 하면 전기 공사 또는 안전 진단 이쪽으로 가는 것이 좋고 전기기사 산업기사는 포화 상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에 대한 기초를 학습한다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전기기능사 실기를 통해 실전기술 등을 배울 수 있죠. 전기기사는 이론부분만 다루기 때문에 실전기술 등을 배울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전기기능사 필기를 준비하려 한다면, 기초 이론을 탄탄히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각종 법규와 안전 기준 등을 꼼꼼히 숙지해야 합니다. 관련 문제집을 통해 다양한 문제 유형을 접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며, 학과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잘 복습하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시험 직전에는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풀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남는다면 온라인 강의나 스터디 그룹을 활용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