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만 13세) 수면제 처방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동생이 계속 잠을 못 자거나 늦게 자거나 조금밖에 못 자서
힘든 상황이에요. 수면제 처방을 받고 싶다는데 미성년자는 수면제 처방 안 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멜라토닌 영양제(1정 당 2mg)를 2개월 정도 먹고 있었는데 그래도 효과가 없어서요. 수면 유도제 같은 걸 처방받아야 하나요?
엄청 심한 수면 장애까진 아니구요.. 동생이 키도 작고 몸무게도 많이 안 나가서.. 약 처방받아도 몸에 무리 갈까 봐서요. 무슨 약을 먹어야 할까요?ㅠㅠ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철분제 보충을 고려해보시고요. 테아닌도 복용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멜라토닌은 보통 노인분들에서 효과가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환영 약사입니다.
만13세 정도의 연령에서는 성장,면역력,학습능력을 위해서 적절한 수면이 중요합니다. 엄청 심한 수면장애도 아니고, 나이도 어린 편이고, 체격도 작은 편이라면 수면제는 우선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의존성,내성 등 고려할 점이 많습니다.
우선은 많이 힘드신 경우에 복용할 수 있도록, 약국에서 처방없이 수면유도제를 구매해보세요. 나이를 말씀하시고 추천받아서 구매하시고, 반알 정도로 용량 조절 할 수 있도록 연질캡슐 보다는 정제 형태를 골라주세요. 수면제보다는 효과가 약할 수 있지만 내성 및 의존성 측면에서 안전합니다.
또한 지금은 생활습관 개선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규칙적인 수면시간을 위해서 노력해주시고,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는 자기 직전에는 멀리 해주세요. 낮시간의 적절한 활동과 햇빛보기도 큰 도움을 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멜라토닌 영양제(1정 당 2mg)를 2개월 정도 먹고 있는데도 효과가 없는 경우 우선 약국에서 항히스타민성분의 수면유도제가 습관성 및 내성이 없어 몸에 무리가 덜가기에 우선 복용을 해보길 권장드립니다.
계속 불편한 경우에는 병원에서 수면제를 처방받는 것이 보다 효과적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길 바래요
감사드려요.^^항상 건강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상우 약사입니다.
청소년(만 13세)의 경우, 일반적인 수면제는 신중하게 처방되며 무조건 금지된 건 아닙니다.
멜라토닌이 1차 선택이 맞고,
2개월 복용에도 효과가 없다면 전문의 상담을 통해
소량의 수면 유도제(예: 항히스타민 계열, 저용량 항우울제 등) 처방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다만 키, 체중, 성장 상태를 고려해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 후 결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일반 수면제는 성장기 아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자가 복용은 절대 피하시고 반드시 진료 후 복용 여부를 정하셔야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