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반적으로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어떤 원인들이 있을까요 어떤 사람들은 금리를 인하했기 때문에 물가가 다시 올라갈 거다라는 말을 하더라고요 그것


일반적으로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어떤 원인들이 있을까요 어떤 사람들은 금리를 인하했기 때문에 물가가 다시 올라갈 거다라는 말을 하더라고요 그것이 정말 가능한 얘기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가능합니다

    • 금리를 내리게 되면 투자와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물건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 코로나시기에 풀었던 화폐들 때문에 상승했던 물가를 미국의 경우도 다시 금리를 올리면서

      물가상승율을 제한했고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시중에 엄청난 통화량이 풀리는 등 하며

    더불어서 공급망 등의 문제가 생기고

    금리인하로 통화가 많이 풀려

    물가가 오르기도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은 금리 인하로 인해 촉발될 수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기업과 가계의 대출 비용이 줄어들면서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 총수요가 증가하고 물가 상승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는 자산 가격 상승을 유발하여 전체적인 물가를 끌어올리기도 합니다.

    다만, 금리 인하의 효과는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경기 회복과 물가 안정이라는 이중적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하였기 때문에 물가가 다시 올라갈 거다라는 말은 너무나도 단순한 관계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학원 다니면 다 공부 잘한다 와 같은 확실하지 않은 이야기지요 공부하면 다 1등 합니까 그렇지가 않다는 말이죠 인간 세상이라는 것이 말입니다 가장 큰 것을 저는 원자재 상승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올라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원자재 가격이 오르거나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려고 할 때 물가가 오릅니다. 금리를 낮추면 사람들이 돈을 더 많이 빌려서 소비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 인하는 물가 상승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는 데는 여러 요인이 작용하니 금리 인하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반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결국 현금의 가치가 떨어지는데

    현금 역시 시중에 현금이 많을 때에 가치가 내려갑니다.

    즉, 금리를 내리면 시중에 현금이 풀리고

    그래서 현금의 가치가 내려가니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의 금리가 인하되면 대출금리가 낮아져 대출수요가 증가하고 예금금리도 낮아져 예금수요는 낮아지며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 많아지며 물가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수요 측면에서는 소비자 수요 증가, 정부 지출 확대, 수출 증가 등이 있고, 공급 측면에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 임금 상승, 생산성 저하 등이 있습니다. 또한 통화량 증가, 환율 변동, 기대 인플레이션 등 화폐 관련 요인도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와 물가 상승의 관계는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경기 부양을 위해 시행되며, 이는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여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경제 상황, 정책의 효과성, 시장 참여자들의 반응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반드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경제가 침체기에 있거나 디플레이션 위험이 있을 때는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경제 상황,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기술 혁신 등 다른 요인들도 물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금리 정책만으로 물가 변동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요 증가, 생산 비용 상승, 통화 공급 확대 등이 있습니다.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이 용이해져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수 있어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가 물가 상승에 기여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은 세계 경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최근에는 전쟁, 이상 기후, 공급망 병목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는 석유, 가스, 곡물, 비료 등 다양한 상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환율은 한 국가의 통화가 다른 국가의 통화에 대해 얼마의 가치를 가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임금이 상승하면 노동자의 구매력이 증가하여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금 상승은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기업의 가격 인상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예금 적금 대출금리 모두 내려가기 때문에 시중에 자금이 더 풀립니다 그래서 사람들이 돈을 더 쓴다고 보면 물가가 올라가는건 어찌생각하면 당연한 이치같기는 합니다 그래도 내수경기가 너무 안좋으니 기준금리를 내려서 사람들이 돈을 떠쓰게 하려는 의도죠 반대로 경기가 좋아서 물가가 너무 오르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서 사람들의 소비심리를 억제하기도 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금리가 내려가면 보통 사람들이 소비를 많이하고 기업들이 투자가 늘어납니다 그러면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가격이 올라가는 효과가있고 이것이 물가상승을 유발합니다

    공급이 줄어도 물가상승이 발생핮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돈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돈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재화, 용역(서비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이 맞으며, 이러한 '통화 인플레이션'은 사실상 인플레이션의 90% 이상을 차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