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순수한삵213
순수한삵21320.12.12

주식 용어 정의좀 해주세요 알기쉽게 예를 들어서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Roe , coe, per, eps, pbr 이런 용어들을 네이버 사전같은곳에 검색해봤는데 설명 되는 단어들이 어려워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네요... 쉽게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PER → 주가를 1주당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며, 주가수익

    비율이라고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PER의 비율이 높으면 주가가 높은 것이고, 낮으면 주가가 낮은 것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PER의 크기는 주가가 내재가치에 비해 고평가, 저평가되어 있는 가의 판

    단 기준이 됩니다.

    PBR →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주가가 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현재 주가를 1주당 순

    자산으로 나눠 계산 합니다. PBR수치가 낮으면 주가가 자산가치 보다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합니다.

    EV/EBITDA → 기업가치/세금 이자지급전이익이라는 뜻으로 기업가치(EV)를 세금과 이자를 내지 않고 감가

    상각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익(EBITDA)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해당 기업의 내재가치와

    기업가치를 비교하는 투자지표로 EV/EBITDA로 나눈 값으로 표시합니다. 즉, 기업가치가 순

    수한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몇 배인가를 알려주는 지표로, 그 비율이 낮다면 회사의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BPS → 주당 순자산가치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입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것이 자기자본인데 여기서 상표권, 영업권등 무형고정자산과 배당금, 임원상여금 등 사외유출분을

    제외하면 '순자산'이 됩니다. 순자산을 발행 주수로 나눠 산출한 것이 주당순자산가치(BPS)입니다.

    주당순자산가치가 높다는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고 실제 투자가치가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 → 투자수익률을 측정하는 성과지표 중 한 가지로 자기자본의 크기와 당기순이익을 비교하기 때문에

    자기자본에 정확히 대응하는 수익률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