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13

신라는 어떻게 통일신라가 되었는지요?

고구려 백제 신라중에서 약소국으로 외에 침략을 받고 가장 국력이 약하다고 들었는데 어떻게 삼국통일을 이룰수 있었는지 역사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는 전략적으로

    당나라와 힘을 합쳐 삼국통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한반도에서 당군을 몰아내기 위해서 5년 동안 전투를 벌인 끝에 삼국통일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통일 후 고구려 왕산악이 만든 거문고가 신라에 전해지고, 백제의 불상양식이나 석탑양식이 신라에 계승, 발전된 것도 모두 신라의 적극적인 문화수용 정책 때문이었다. 통일신라의 불교계 고승들이 모두 고구려계인 것은 사상계·학계에서 백제와 고구려 유민들이 활약하고 있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삼국문화는 통일신라에 의해 융합, 발전하여 이후 우리 민족문화의 근간이 되어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당연합으로 대동강이남으로는 신라가 다스리고 이북으로는 당이 차지하기로한 협상으로 정말 말도 안되는 협약이었죠... 그렇게 해서라도 통일을 하고 싶었는지... 암튼 신라의 말도 안되는 협상으로 반쪽짜리 통일이 되었습니다ㅡ 고구려의 대부분 땅을 잃고 발해땅도 잃고 .. 고구려가 통일을 했으면 지금쯤 중국의 대부분이 우리나라 땅일텐데...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 백제를 통합한 통일신라.


    7c 나당(신라와 당)연합군에 의해 1. 백제의 의자왕때 향략에 빠져 멸망(660)

    2. 고구려는 연개소문의 사후 자식들의 내분으로 멸망.(668)

    통일신라는 신라의 상대 중대 하대중 중대에 해당된다.

    중대인 통일신라는 무열왕(김춘추)과 그직계자손들을 통해 왕위가 계승된시기. 삼국통일을 이루어낸 직후의 신라의 전성기


    **중앙 정치 조직

    통일후 왕권의 전제화 과정에서 정치족직의 정비도 이루어져 신문왕때 공장부와 예작부 를 설치함으로써 6전 조직이 완비. 중앙관청중 최고 관청은 집사부로 왕명으로 실제 정무, 특히 국가 기밀 업무를 총괄했고 그 장관이 시중이었다. 통일후의 신라는 왕권이 전제화하는시기이므로 집사부와 시중의 위상이 놓았다. 전제화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유교정치 이념을 도입해 국학을 설립한 점이다.

    귀족세력을 억압하고 강력한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학에 대한 건식이 뛰어난 6두품 집단이 국왕과 손을 잡고 귀족을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지방행정조직과 군사조직.

    통일신라의 기본적인 골경이 완성되는 신문왕때에 9주5소경의 지방제도가 완비.(9주의 편성은 민족융합책의 하나) 9주의 장관으로는 총관(나중에는 도독)이 파견되었고 지방관을 감찰하기 위해 외사정이 파견되었다.중앙의 14개 관청 중에는 사정부라는 감찰기관이 있었는데 그의 지방 파견관리를 지방을 의미하는 외(外)를 붙여 외사정이라 불렀다.관리의 비행을 규찰하는 오늘날의 감사원이 하는 활동을 했다.

    통일신라는 중앙집권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호족(지방세력가)을 서울에 불러 인질로 삼는 "상수리제도"와 천민집단인 향부곡제도를 강화했다.

    통일신라의 지방군은 10정으로 구성되었다. 9주에 1정씩 재치하고 국경의 대부분 지역이 포함된 한주에는 1정을 추가했다. 중앙군으로는 9서당이 있었다. 9서당에 신라+고구려+백제인도 포함시킨것은 민족 융합을 위한 신라의 노력으로 이해됩니다.


    **토지제도

    귀족들의 녹읍을 폐지하고 대신 관료전을 지급.녹읍에는 그 토지에 대한 조세 공납 노동력의 모든 수취권이 귀족에 위임되었으나 관료전은 조세와 공물에 대한 수취권만 부여됩니다. 중대 절정기인 성덕왕때에는 정전이라는 민전을 농민에게 지급함으로써 귀족의 영향력으로부터 보호해 국가의 농민 지배를 강화하고 간접적으로 귀족세력을 견제하는 이중의 목적달성을 도모했던것입니다.

    경덕왕때는 귀족들의 반발로 녹읍이 부활되었습니다.왕권의 약화를 말합니다.(하대)



    하대에는 진골귀족의 무능력과 내분은 골품제 사회의 존재의미를 없애 버려 사회통제를 불가능하게 했으며 그 결과 새로운 역사 조도세력의 등장을 가능케 합니다. 그들이 바로 호족이며 지방의 행정 군사 재정권을 장악하고 기존의 권위를 부정하는 선종과 국토의 지방 중심재편성을 주장하는 풍수지리설은 이들의 사상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또한 진골에게 배척되어 반시라적 경향을 보이던 6두품세력과도 정치적으로 결합해 유교정치이념을 정착시킵니다.


    그리하여 후삼국이 성립됩니다.


    요점만 정리한다고 했는데 만족하실지 모르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일신라(統一新羅)는 676년부터 935년까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정복하고, 나당전쟁에서 승리하여 한반도를 통합한 이후의 신라를 지칭하는 말이다. 조선의 문신이자 실학자인 유득공은 북국 발해와 대비하여 남국(南國)이라 부르기도 했다. 대체 용어로는 대신라[7]와 후기신라[8]가 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