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1.09

피는 시간이 지나면 멈추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코피가 나거나 넘어져 다치는 경우에 피가 나면 피는 시간이 지나서 피 나오는 양이 줄어들면서 멈추게 되는데 피가 멈추는 과학적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피 안에 무엇이 피를 멈추게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9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에 출혈이 발생하면 혈소판이 응집하여 혈전을 만들어 출혈이 멈추게 됩니다.

    출혈이 발생하고 혈소판이 응집하여 혈전을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4분 이라고 합니다. 혈소판 혈전이 만들어지면 응고 촉진 단백질(피브린 단백질), 비타민 K 등이 작용해서 피브린 그물망이 만들어지고 딱지가 생성되서 출혈을 막게됩니다. 혈전이 그대로 있으면 혈관이 막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혈이 완료되고 나면 용해작용이 일어나서 피딱지가 녹고 막혀있던 혈관이 다시 개통된다고 합니다. 피브린 단백질 형성에 칼슘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칼슘은 혈액응고에 필수적인 영양소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