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화려한치와와240
화려한치와와240

아이의 짜증을 달래는 방법이 뭐가있을까요?

아들이 짜증을 심하게 낼때 저도화가나서 머라하는데 다른방법이 없을까요?부모가 화를 안내고 아이를 달래주고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다가 짜증날때는 잠시 쉬어주는것도 좋습니다.

      자리를 잠시비우거나 하면서 감정을 진정시킨 후 아이에게 이야기해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낼 때, 보호자가 되려 더 크게 화를 낸다면

      장래에는 아이에게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이는 어떤 이유로 보호자에게 화를 내는 것인지 먼저 그 이유를 파악하신 다음에

      그 원인을 해소하도록 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낸다면

      그것을 그대로 받아주시거나

      화를 내시는 것을 좋지 못핮니다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의 훈육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짜증을 내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취학 아동들은 자기의 의사 표현을 분명하게 할 줄 알기 때문에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 주지 않으면 짜증을 부릴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짜증을 내면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서, 짜증을 내는 이유를 묻는 대신, 아이의 감정 표현에 공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ㅇㅇ가 화가 많이 났구나!

      기분이 정말 안 좋구나!

      등등 아이가 느끼는 감정 표현에 공감해 주는 것이 필요하며, 아이가 감정이 가라앉은 후 스스로 말할 때까지 기다리기 바랍니다

      시간이 지나면 아이들 대부분이 짜증을 내고 화를 낸 이유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강압적인 훈육은 아이 자존감을 잃게 만들기 때문에

      나중에 성인이 되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훈육을 강압적이지 안게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파악한 후 그부분이 위험한 행동이나

      허용되지 않는 일이라면 단호한 훈육이 필요하며 그외에 어느정도 허용된

      상황이라면 어느정도 허용한 후 횟수에 제한을 두는 훈육방식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분과 짜증나는 상황에 대해 이야길 해주세요.

      ' 1. 일단 하고싶은것을 하게 하고

      2. 기대하는말 보단 아이가 잘 즐기고 있는지 소통하고

      3. 만약 아이가 하다가 즐겁지 안다면 그거대로 존중하고'

      특히 소통과 존중이 중요합니다. 간혹 부모들은 자녀보다 더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무의식섲으로 부모들의 생각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는것을 조심해야합니다. 부모의 생각만 강요하면 짜증이 심해 질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짜증을 낼 때에는 부모님이 화를 내기 보다는

      아이가 화가 난 이유 등에 대하여 물어보고 다른 방법으로

      이러한 화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바랍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시는 등 해보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할 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아이가 짜증을 내면 일단 공감하고 스스로 말할 때까지 기다려보세요. 시간이 흐르면 대부분의 아이는 화낸 이유를 말하게 됩니다. 이때 아이와 짜증 부린 이유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대안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