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6

남극과 북극에서 오로라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오로라현상

인터넷이나 티비에 가끔 오로라를 볼때마다 감탄이 나오는데요

남극과 북극에서 오로라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23.08.08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풍이 지구 자기권에 유입되면 이 자기권이 가장 강한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극지방에 도달하게 되면 대기 중의 원자나 분자들과 충돌하게되고 이때 빛이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이 것이 오로라 입니다.

    오로라는 충돌하게 되는 원자의 종류에 따라 그 빛의 색상이 차이가 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우주선(하전입자)이 대기의 기체와 부딪혀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하전입자는 전하를 띠는 입자들을 의미합니다. 보통 우주선이라고도 합니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인 우주선이 행성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전하를 띠고 있으면 행성 자기장에 의해 나선 운동을 합니다. 우주선은 나선 운동을 하며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자기장이 강한 고위도에서 나선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죠. 나선운동을 하며 대기에 있는 기체와 부딪히며 빛을 발하며 오로라가 생기게 됩니다.

    빛이 나는 원리는 기체 분자에 존재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가 외부 우주선과의 충돌로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려고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손실 되는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 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는것이죠. 기체의 종류와 에너지의 차이에 따라 다른 파장의 빛을 방출하므로, 빛의 색이 달라져 오로라의 색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 현상은 지구의 자기권과 태양풍이 만나 발생합니다. 태양풍은 태양에서 방출되는 고에너지 입자입니다. 이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권에 의해 지구로 유입되면, 지구의 자기권을 따라 극지방으로 이동합니다. 극지방에 도달한 입자들은 대기 중의 원자와 분자와 충돌하여 빛을 방출합니다. 이 빛이 바로 오로라입니다.오로라는 북극과 남극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지구의 자기권이 북극과 남극에서 가장 강하기 때문입니다. 오로라의 색깔은 입자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산소 원자는 녹색색의 빛을, 질소 원자는 붉은색의 빛을 방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남극과 북극에서 오로라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 바람의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지구 자기장은 지구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태양 바람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오로라 현상을 유발합니다.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태양에서 발생한 전자와 양성자로 구성된 태양 바람이 우주를 향해 속도를 높이며 이동합니다. 이 태양 바람은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장을 흔들고, 자기장 안쪽으로 전자와 양성자를 유입시킵니다. 이 때, 전자와 양성자는 지구의 대기권을 향해 이동하면서 대기권의 분자를 충돌시키면서 오로라 현상을 유발합니다.

    오로라 현상은 지구의 자기장이 지구의 남극과 북극 지역에서 가장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주로 남극과 북극 지역에서 관측됩니다. 또한,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오로라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오로라 현상은 빛의 축제라고도 불리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과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 현상입니다.

    플라즈마 입자는 앞서 말씀드린대로 주로 태양에서 방출된 것이 대부분인데, 태양풍을 따라 지구로 불어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극지방의 대기로 진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로라는 지상에서 90 ~250km 상공에서 대기의 입자와 반응하며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는 모양을 하며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