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3

북극에서 볼수 있는 오로라 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북극에는 신기한 현상들이 많이 목격되고 하는데요 왜

오로라 현상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볼수 있나요?

지구과학하고 관련된 얘기지만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3.02.03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이 원인입니다.

    태양풍이란 태양의 상층대기가 팽창하여, 플라스마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빠른 속도로 불어나가는 것입니다.

    지구는 하나의 거대한 자석인데, 북극이 N극인 큰 자석입니다.

    태양풍이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의 자기장이 상호작용을 일으켜 서로 연결됩니다.

    이 때, 자기장끼리 연결되면 플라스마 입자가 자기력선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오로라를 일으키게 됩니다.

    따라서 오로라는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보기가 쉽습니다.


  • 북극에서 볼 수 있는 오로라는 지구 자기장과 태양에서 나오는 소행성과 태양풍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입자들이 지구로 들어오면 지구의 자기장에 갇히게 되는데, 이 때 입자들과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으로 빛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빛이 북극하늘에 반사되어 오로라 현상을 만들어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지만, 북극과는 다른 지역에서는 낮에는 보이지 않고 밤에만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북극에서 볼 수 있는 오로라는 보통 녹색, 붉은색, 보라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발생하는 입자들의 종류와 높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 분자와 반응하여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하늘은 늘 태양풍에 노출되어 있는데,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자기장으로 인해 대부분의 태양풍은 자기권 밖으로 흩어지지요.

    그런데 지구의 자기권은 극지방으로 갈수록 구부러지는 형태여서 극지방에서는 자기층이 엷게 형성됩니다. 바로 이 엷은 층에 태양풍이 스며들게 됩니다. 이때 태양풍 입자들과 대기 속의 공기 분자가 충돌하면서 오로라가 생기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오로라는 거대한 커튼 모양으로 하늘을 가로질러 출렁이는 것처럼 보일 때가 있습니다. 주로 위도 65~70° 사이에서 나타나며 지표로부터 65~100㎞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지요. 오로라는 녹색 혹은 황록색이 가장 많이 보이지만 때때로 적색, 황색, 청색, 보라색을 띠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태양풍과 대기 성분이 만나 나타나게 되는현상입니다

    지구자기장에 의해 주로 북극이나 남극 에서 주로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