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관련 행사가 폐지되고 유교 사상이 들어온 시기가 언제인가요?
삼국시대만해도 불교 관련 행사가 많았고 사람들도 대부분 종교를 불교를 가졌는데
언제 어디에서 유교 사상이 등장하여 우리나라에 전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는 공자가 만든 사상이며 종교입니다.
수천년 동양 사상을 지배해온 종교라고 보시면 됩니다.중국은나라가 멸망할때 기자라는 사람이 고조선으로 망명하면서 전파되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 신라 백제의 삼국시대에는 불교가 국교이다시피해서 많은 절들이 지어지고 승려들이 공경을 받았지만 성리학의 영향을 받고 건국했던 조선은 건국과 함께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로 바꾼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종 때에는 숭불(崇佛)의 폐단을 고려, 팔관회 등의 불교행사를 금하고 유교주의를 채택하여 정치의 사상체계를 확립하였다. 여기에는 최승로(崔承老)와 같은 유신(儒臣)의 활약이 컸다. 고려 중기에 이르러서는 사장(詞章)에 치중하던 초기 단계와는 달리 점차 통경명사(通經明史)에 힘써 경전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가 심화되었다. 또 정치에 실제적인 적용이 증대한 것 이외에도 한당유학(漢唐儒學)의 내용이 다른 학문이나 사회적인 측면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유교가 들어온 시기인 통일신라(668~935)시대를 거치는 동안 유교는 국가를 경영하는 통치술로서의 기능을 굳건히 하였습니다. 국정을 담당할 관인들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세워졌고, 이곳에서 유교 경전을 교육하였다. 공자에게 제사를 지내는 종교적 의례도 국가 행사로 치뤄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때까지는 유교가 불교보다 더 널리 신앙되는 종교였기 때문에 유교의 종교적 기능은 제한적이었다고 볼 수 있지요. 종교로서의 역할보다는 지배 계급의 통치술과 통치사상, 즉 ‘현실 사회를 잘 이끌어가는 지혜와 지식 으로서의 역할을 더 많이 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조선을 건국 하면서 불교의 폐단을 대신 해서 새롭게 유교가 사회 전반에 자리잡게 되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