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22

눈과 우박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겨울이 되고 날이 추워지면 눈이 오는데요

가끔 눈이 아닌 우박도 내리는 걸 봤습니다.

하늘에서 눈과 우박을 생성하는 원리, 환경이 다른가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수증기가 서로 합쳐져서 중력보다 무거워지면 떨어지는 것이 비이고, 대기권의 기온이 낮아 비가 얼게되면 눈으로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우박은 봄과 가을에 더운 공기가 상승해서 영하 온도의 구름 상층부까지 올라가서 수중기가 얼어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기류에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반복하다가 너무 무거워져서 커다란 얼음 덩어리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큰 우박은 미국 네브라스카에 떨어진 직경 18cm 우박이라고 합니다.


  •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어느정도 덩치가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반면에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것을 얼마나 반복하냐에 따라 우박의 크기가 결정이 됩니다.

    따라서, 눈은 차가운 날씨에, 우박은 더운 날씨에 잘 생성됩니다.


  • 우박과 눈, 비의 생성원리는 동일합니다. 다만 구름이 존재하는 상층의 대기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지표에서 상승기류에 의해 수증기가 올라가 구름이되고 응결핵으로 인해 물발울이 생성되었을때 영하 30도이하의 매우 차가운 대기를 만나게되면 구름속은 물 알갱이들은 급냉하게 되어 얼게 되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구름속에서 눈이 포화상태가 되면 아래로 내리게 되고 눈이 내릴때 강한상승기류를 만나가되면 눈은 다시 구름속으로 올라가게되며 구름속에서 서로 뭉쳐 큰덩어리를 만들게 됩니다. 이것이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의 결정 주위에 물방울이 붙어 얼어붙어 떨어지는것을 우박이라고 합니다

    적란운이 형성되었을때 적란운 상부는 차가운데 이 상부에서 얼음결정이 생겨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눈과 우박은 하늘에서 내리는건 동일합니다

    눈같은 경우는 공기중의 물이

    수증기상태에서 0도 이하가 되어서

    얼어버린 것을 말하구요

    우박은 수증기상태의 물이 비로

    뭉쳐있다가 0도시 얼어서 덩어리가

    커버린 것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 높은 대기권에서는 기온이 매우 낮습니다. 보통 비가 내려야 하지만 비이상적으로 온도가 낮을 경우 미세한 물방울이 응결이 되고 주변 물방울과 합쳐지면서 무게가 점점 무거워지게 됩니다. 이 때 어느정도 무게가 되면 지표면으로 내리게 되는데 이게 눈입니다. 근데 눈이 다시 상향기류로 만나서 위로 올라가고 다시 내려오다가 상향 기류를 만나서 위로 올라가기를 반복하면서 더 많은 수증기와 합쳐지게 되면서 더이상 상공에 존재하지 못하는 무게가 됬을 때 내리는게 우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