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시대 몽골이 침략한 후 왕실의 언어는 어떤 언어를 사용했나요?
고려시대에 몽골이 침략한 후 고려는 왕이 몽골의 부마가 되는 경우도 있었고, 풍습도 몽골 풍습을 많이 따랐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고려시대 몽골이 침략한 후 왕실의 언어는 어떤 언어를 사용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몽골의 침입 이후 고려는 몽골의 간섭과 원나라 황실 간의 혼인 관계로 몽골어가 궁중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왕실에서는 한국어를 기본으로 했으나 몽골어에서 유래한 여러 단어들이 궁중 어휘에 포함되었고, 몽골풍 풍습과 문화도 함께 전해졌습니다.
궁중어는 일반 백성들이 쓰는 한국어와 다른 특수한 언어였으며, 고유어가 혼합된 언어 형태였습니다. 예를 들어 수라, 조라치, 홀치 등 몽골어의 어휘가 들어왔습니다.
즉, 궁중에는 한국어가 기본이지만 상당 수의 몽골어가 혼합된 궁중어가 통용되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몽골이 침략한 이후 원 간섭기가 된 이후로도 언어는 우리나라 언어를 사용했으며, 물론 일각에서는 몽골어를 쓰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지만 우리나라 언어가 아예 없어진 건 아니었습니다. 다만, 관제가 격하되어 이름이 달라졌을 뿐입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