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22.12.21

한국 주식 pbr은 왜이리 낮은 건가요?

한국 주식 pbr은 왜이리 낮은 건가요?

삼성 같은 대기업도 있는데...대한민국 pbr 수치는 정말 낮은데요...

그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B 비율(price-to-book ratio)은 회사의 장부 가치 대비 주식 가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재무 비율입니다. 회사의 장부가는 대차대조표에 기록된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한국 주식의 낮은 P/B 비율에 기여할 수 있는 몇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 상황: 낮은 P/B 비율은 시장이 약세이거나 투자자들이 기업이나 경제 전망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관적이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이익: 회사의 이익이 예상보다 낮거나 감소하는 경우 P/B 비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밸류에이션: 낮은 P/B 비율은 해당 주식이 장부 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는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가치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

    • 산업 요인: 주식의 P/B 비율은 경쟁 수준, 규제 환경 및 경제 조건과 같이 회사가 운영되는 산업에 특정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P/B 비율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평가할 때 고려할 수 있는 많은 재무 비율 중 하나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PBR이 낮은 원인은 최저 수준의 주주환원율, 취약한 기업지배구조, 소액주주보호 미흡 등 복합적 요인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계투명성 부족과 낮은 기관투자자 비중도 영향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한국 증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있습니다.

    한국 특유의 가치 할인이 생기게 되죠.

    그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는,

    북한과의 지정학적 리스크, 정부의 각종 강도높은 규제, 외환시장의 경직성, 외국인 투자의 불편함, 강성 노조,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이 그 원인입니다.

    삼성이 한국 기업이 아니고 미국 기업이었으면 가치평가가 더 높게 나올 것입니다.

    위의 요인들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계속해서 PER 값이 낮게 저평가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기업들의 지배구조 문제,

    주주환원책이 약한 점, 대북리스크 등으로 인하여

    저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한국 기업들이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기업들과 비교시에 더 높은 수익성이나 매출과 자본력에도 불구하고 낮은 평가를 받게 되는 것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조금 크게 작용하게 됩니다. 한국이 위치한 자리는 중국, 러시아, 북한에 둘러 쌓여 있다보니 언제든 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게다가 북한은 자주 미사일을 발사하는데 우리나라 국민들은 크게 신경을 쓰지 않지만 해외 투자자 입장에서는 전쟁이 언제나 발생할 것 같은 위기를 느끼게 되면서 미사일 발사때마다 주가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렇기에 한국의 지정학적인 전쟁 리스크가 외국 투자자들의 투자성을 낮게 만들고 이로 인해서 한국 기업들의 가치 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