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명랑한반달곰14
명랑한반달곰1422.05.16

금리는 언제까지 계속 상승될까요??

저금리에서 고금리로 전환되면서 고민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내년까지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서 금리가 상승될거라고 예상되는데 최대 어느 수준까지 오를까요??주담대가 고정에서 변동으로 전환되는 시점이 2024년도여서 고민이 많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이 2023년까지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있는 바 2022년 및 2023년 초반까지는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단, 금리가 어느수준까지 오를지는 예상이 어려운 영역이나, 현재수준에서는 좀 더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16

    안녕하세요. 어느 수준까지 올리지는 누구도 예측하지 못합니다.

    다만, 미국이 계속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우리나라도 그에 발맞춰 금리상승이 예측됩니다.

    외국자본 유치를 위해서요...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문구를 통해 "당분간 물가에 보다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총재도 기자간담회를 통해 "물가가 정점에 다다르고 상당히 유지될 것으로 우려돼 금리를 올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수개월(5~7월) 물가는 5% 이상 높아질 상방 위험에 있다"면서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이 총재가 물가 대응 의지를 강조하면서 전날 국고채 3년물은 장중 3.028%까지 오르면서 3%대를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4년 정도면 괜찮다고 봅니다. 저는 길게 봐도 2024년까지 금리가 오른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럼 적당한 시기네요.

    감사합니다.


  • 금리인상은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에 따라 우리나라도 그에따른 영향을 받을것으로 추측이되는데 미국연준이 금리 인상이 올해 3.5포인트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우쿠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이슈에 따른 국제적인 변수가 있기는 하나 올해와 내년까지 어느정도는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짧을 경우 올 연말까지 2.75%를 상단으로, 길 경우 내년 3분기까지 3.5%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에서 한국은행의 경우 미국보다 조금 일찍 또는 비슷하게 금리인상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합니다. 한국은행은 현재 기준금리 1.5% 수준에서 올 연말까지 2.25%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 약 2.5% 이상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중은행 대출 금리는 올해 7%, 내년 8% 이상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

    다만 올 2분기부터 중국의 경기가 둔화되고 있고 하반기 유로존 경기침체가 예상되며 미국의 경우 지금부터 내년 연말까지 경기침체 우려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연말 미국의 경기침체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기준금리 하향조정이 예상되며 2024년 변동금리로 전환되시더라도 증가한 상환비용의 부담이 오랜 기간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대출보다는 부동산 가격 조정 가능성이 당면한 리스크인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