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09

번개가 칠때 차에 있으면 안전한 이유??

안녕하세요

번개가 치면 차안에 있으면 안전하다 하더라구요

차는 철로 되잇고 전기가 통할텐데 왜 차안에있으면 안전한거죠?

전기가 감전되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는 외관이 도체인 금속으로 되어 있 습니다. 그래서 전기가 잘 흐를 것 같지만, 오히려 차체외관으로 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도체로 이루어져 있어 벼락을 맞아도 전자들이 겉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자동차안의 전기장은 0이 되기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차안은 지상에 닿아 있는 사람과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공간이기 때문에 차안에서는 지상과의 전기적 접촉이 차단되어 있어 안전합니다.

    하지만 차량의 안전층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 번개로 인한 전기 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번개가 칠 때는 차량 안에 있는 것이 완전히 안전하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차에 피뢰침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끈이 하나 있습니다.



    차밑에 보면 질질 끌고 다니는 끈이 있잖습니까



    그게 번개를 맞으면 땅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칠 때 차 안에서 안전하다는 주장은 일부 참마된 미신 중 하나로, 실제로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차 안에서 번개가 칠 경우에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차량이 전기 감전되지 않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그러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차량 외부로 전기 흐름 경로: 번개가 차량을 칠 경우, 차량의 금속 구조는 전기를 효과적으로 흘려보내는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로가 반드시 차안 내부로 향할 것은 아닙니다. 번개가 차량 상단 부분이나 안테나 등을 치는 경우 전기 흐름 경로가 차량 외부로 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차 안의 금속 구조: 차량의 금속 구조는 주로 차체 외부로 전기를 흘려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차 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전기의 양은 비교적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번개가 차량 안에서 친다면, 안전한 곳으로 숨어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타이어의 절연 효과: 차량은 타이어를 통해 지면과 접촉하고 있어 전기를 땅으로 흘려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는 일종의 절연체 역할을 하며, 번개가 차량을 칠 때 타이어를 통해 전기가 땅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 안에서 번개가 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 창문을 닫고 문을 닫아두십시오: 창문을 열어둔 상태나 문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번개가 칠 경우 전기가 차 안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창문과 문을 닫아두면 전기의 흐름 경로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 핸즈프리 시스템 사용: 차 안에서 핸즈프리 시스템을 통해 휴대전화 통화를 하거나 음악을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번개가 칠 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전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면 차 안에서 번개가 칠 때 안전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 안에서 번개를 직접 느끼거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요약하면, 차 안에서 번개가 칠 때도 완전히 안전한 것은 아니며, 번개가 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번개가 칠 때는 무조건적으로 차 안에 있으면 안전하다고 가정하면 안되며, 상황에 따라 신중한 판단과 조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차량이 벼락을 맞게되면, 내부에 사람들은 무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차량의 겉 부분이 도체 역할(차폐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내부에 전류가 흐르지않고 차량 표면으로만 전하가 분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차량 내부는 안전합니다. 하지만 벼락을 맞은 즉시 당황하셨다고 절대 차량 문을 열거나 하시면 안됩니다. 차량 표면에 남아있는 전자(-)가 다수 있기 때문에 문을 열면서 틈이 생기게 되고 문과 차 사이에 전류가 흘러 방전이 일어나 사람을 감전 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에서는 차와 연결된 쇠, 금속 부위를 만져서는 안되며 119 구조대를 불러 도움을 요청해야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번개가 칠 때 차 안에서 안전한 이유는 차량의 외부로 전기가 흐르지 않고 안전하게 땅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차량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어 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차 안에서는 번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차량이 번개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이유를 설명한 것입니다:

    1. 파티클 쉴드링 작용: 차량의 금속 구조는 전기적으로 도체로 작용하여 전기를 흡수하고 분산시킵니다. 이로 인해 차 내부로 전기가 흐르지 않고 외부로 전기가 분산되어 안전한 경로를 제공합니다.

    2. 파타오루팅 효과: 차량의 타이어와 바닥은 흔히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재질들은 전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흩날리게 되어 전기가 차량의 안전한 경로를 통해 지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3. 파티클 메쉬 작용: 차량의 금속 외부 구조는 전기가 효과적으로 흐를 수 있는 메쉬 구조를 형성하며, 이로써 번개가 차량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번개가 칠 때 차 안에서 절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번개의 강도나 형태에 따라 차량 내부로 전기가 흘러들어올 가능성이 낮긴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차량 내부에서도 약간의 전기가 감지될 수 있습니다. 번개가 칠 때에는 가급적 차량을 가능한 빨리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치면 차 안은 안전합니다. 번개는 금속을 잘 따라가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번개가 차에 떨어지면 차체의 철제 부분을 따라 땅으로 흘러갑니다. 차 안은 금속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번개가 차 안으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차 안에서 번개를 맞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차량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금속은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입니다. 번개는 주로 금속 구조물이나 높은 물체에 치우치기 때문에, 차량의 금속 구조물은 번개를 통해 안전하게 흘려보낼 수 있습니다.

    2. 차량은 격리된 공간입니다. 번개는 주로 높은 물체나 지표와의 차이로 발생하는데, 차량 안에 있을 때는 높은 물체와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번개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확률이 낮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바퀴가 절연체인 고무로 되어있어 번개가 땅으로 접지가 되지않아 안전하다는 이야기죠~

    즉 번개가 전류가 흐르는 도체쪽으로 주로 떨어지게 되는데... 타이어는 절연체로 공중에 떠있는 현상이 생긴거에요!

    반대로 피뢰침은 일부러 건물 옥상에 금속성분을 만들어 건물에 직접 피해를 입히지 않고 그 금속을 땅으로 직접 연결하여.. 바로 땅으로 흘려서 건물속 사람들이 안전하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번개가 칠때 차안이 안전한 이유는 번개가 치면 차는 철구조로 되어 있어서 전류가 철제 구조로 흐르게 되고 그 전류가 타이어를 통해서 땅으로 접지 되어 나가게 됩니다. 그런데 사람이 차 안에 있으면 외부의 철 구조외에 내부는 철구조가 아니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기때문에 안전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