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으로 벌어진 전쟁 및 결과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정책으로 인해 발생하게된 전쟁에는 무슨 전쟁이 있는지 궁금하고 그 전쟁으로 인해 벌어진 결과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상수교거부정책은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문호를 닫고 서양과 통상하지 않았던 대외정책입니다.
18세기 유럽의 산업혁명 이후 서양의 이양선이 조선 연해에 자주 출몰하였고 이들이 통상을 요구하면 해금정책에 따라 그들의 요구를 단호하게 거절했으나, 조난된 선원 등에게는 먼곳에서 온 사람들에게 최대한 관용을 베푼다는 유원지의 원칙으로 처리하였습니다.
1860년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의 공격으로 베이징이 함락되고 청나라 함풍제가 피난 간 사실이 알려지면서 조선의조야에서 위기감이 확산되고, 영국, 프랑스와 청나라의 강화를 중재한 러시아가 그 대가로 연해주를 얻으며 조선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게 됩니다.
이 무렵에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러시아의 위협을 막고자 프랑스 세력을 끌어들이려하나 교섭은 성사되지 않고 러시아의 국경 침범과 통상 요청이 기우였다는 것이 드러나고 청나라에서 천주교를 탄압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집니다.
천주교를 금지해야 한다는 대신들과 유생들의 주장이 이어지자 대원군은 천주교와 자신의 무관함을 과시하듯 천주교를 대대적으로 탄압합니다.
대원군은 병인박해를 계기로 발생한 병인양요를 물리치고 바다의 관문을 크게 지킬것이며, 외국배는 삼가 통과할수 없다 라는 비석을 덕진돈대 앞에 세워 폐관자수의 의지를 내외에 선포합니다.
1868년 발생한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사건은 서양인에 대한 반감을 더욱 부추겼고, 1871년에는 1866년 발생한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 전쟁을 했습니다.
신민양요 이후 대원군은 서양의 배에서 나는 연기와먼지가 온 천하를 뒤덮어도 동방국의 광채는 의연하게 영원토록 빛나누나 라는 시를 짓고 양이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일이다 라는 척화비를 경향 각지에 세워 서양을 배척하는 정책을 더 강화했습니다.
대원군의 통상수교거부정책은 서양 열강의 침략을 일시적으로 저지할수는 있었으나 변화하는 세계 정세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신미양요는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는 승리일수 있으나 군사적으로는 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