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무엇인가요? 아이는 흔들면 안되나요?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란 말을 처음 들어봅니다. 아이가 흔들리면 아이에게 문제가 생긴다는 말인가요? 어린 아이는 흔들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세 이하의 아기를 심하게 여러 차례 흔들어서 생기는 질환으로, 머리에 충격을 받거나 혹은 머리가 심하게 흔들렸을 경우 겪는 증후군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영유아기에 발생하는부분이며
아직 두개골이 닿혀있지 않은상태에서 뇌가 흔들리면 인지적인 발달이나 뇌손상을 일으킬수있기에
이때는 달래거나 안아주거나 할떄 크게 흔들지 않는것이 좋으며
두돌정도가 지나면 이러한부분이 어느정도 안정될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어르고 달래거나 놀아줄 때 머리를 심하게 흔들면 두부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구토, 경련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치료가 늦을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기에 아이를 달랠 때 조심해 주시고 차량에 탑승할 때도 1시간 탑승 후 휴식을 취하는 등 아이가 심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ㄴ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영유아에서 양육자가 고의로 아이를 강하게 흔들면 두부손상을 보이는 것을 말하고 심하게 흔들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유아기에는 두개골이뇌를 보호하지못해 흔들면 두부손상이올수있으니 주의하는것이좋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외적으로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무기력하거나
무의식적인 상태가 되고
창백하고, 푸르스름한 피부, 구토 경련과 같은 신체적 변화가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외상이 동반 되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진단하기 쉽지 않는 증후군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영유아에서 양육자가 고의로 아이를 강하게 흔들어 생기는 두부손상의 형태이다. 주로는 2세 이하의 소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아이가 울음을 그치지 않으면서 잘 달래지지 않는 상황에서 분노의 표현으로 아이를 흔들어 대면서 발생한다. 가정 내에 폭력상황이 빈번이 발생하거나 양육자가 약물중독에 빠져 있는 경우가 있다. 아이를 세게 앞 뒤로 흔들면 두부의 급가속/감속 충격이 뇌에 전달되면서 지주막하출혈, 경막하출혈, 뇌실질손상이 올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영유아에서 양육자가 고의로 아이를 강하게 흔들어 생기는 두부손상의 형태이다. 주로는 2세 이하의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