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즐거운말벌9
즐거운말벌9

불면증과 몽유병이 같이 있을 때 운동이 좋은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23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21살 부터 불면증이 생겼습니다.

그때는 심리적요인이 커서 2-3번은 기본이고

많을때 4번 정도 깼습니다.

몽유병도 같이 있어서 엄마랑 언니가 무섭다하네요;;

규칙적으로 운동을 1시간씩 두번 매일 하고 있고

카페인이 몸에 잘 안받는 타입이라 많이 피곤할때 빼고

안마십니다 낮잠도 아예 안자는데

뭐 때문인지 오후가 되면 잠들었다가 들썩거리면서 깹니다

평균 수면시간은 8시간 인데

11시 30분에 누웠다 치면 12시에 자서

새벽과 알람 울리기 1시간 전에 깹니다

수면의 질을 높이고자 운동을 더 30분 늘려서

오후에 1시간 30분씩 하면 불면증 완화에 도움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불면증에 대해서는 수면에 대한 정확한 검사를 통해서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게 맞습니다.

      몽유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특별한 방법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몽유병은 운동으로는 치료가 잘 되지 않는 질환에 해당합니다. 정신과 방문을 통해 약물치료 등을 시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좋은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생활 습관 및 환경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 침실이 충분히 아늑한지, 암막이 잘 되어 있는지, 침대에서 다른 작업등을 하지 않는지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침대는 오로지 잠을 자거나 성인이라면 성생활을 위해서만 사용하시는 것이 추천됩니다.

      잠이 오지 않으면 침대에서 잠을 들려고 애쓰기 보다는 가벼운 독서나 공부등을 하며 잠이 오면 다시 잠자리에 드는게 좋습니다. 취침 전 티비시청 혹은 핸드폰을 조작하는 것은 수면을 방해합니다.

      또한 적당한 운동을 통해 신체가 정상적인 리듬을 갖게 하고 수면에 취할 수 있게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그리고 수면을 위해 술에 의존하는 것은 매우 좋지 않은 습관으로 수면 유도에는 일부 효과가 있더라도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해 불면증을 더욱 악화 시킵니다. 또한 카페인 섭취는 적절하게 하루에 커피는 두 잔 이상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모든 방법을 취하고도 잠이 오지 않으면 정신건강의학과 면담을 통해 수면에 좀 더 도움이 될만한 것을 찾거나 근본적인 심리문제가 없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으며 단기간 수면유도제는 일부 효과가 있으나 수면유도 효과만 있을 뿐 질 좋은 수면을 유지하게 하는 것은 아니며 의존성과 내성이 존재하므로 2주 이상 사용하는 것은 불면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꼭 담당 의사와 상의 후 복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불면증과 몽유병에 대해서 운동을 통해서 완치는 어렵지만 운동을 하는 것이 해당 질환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는 합니다. 그렇기 대문에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운동을 30분 늘리는 것이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는 운동의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안고 잠을 자고 있어서

      깊은 수면을 자기가 어렵고 REM 수면 중에는 의식이 어느 정도 있어 이때 불안감이 깨어

      나는 것으로 보이며 전형적은 수면 장애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 수면 중

      코골이를 하고 있지는 않은 지 주변에 물어 보시기 바라며 정신과 진료와 함께 수면다원

      검사를 받아 보시기 바라며 필요하다면 수면제나 신경안정제를 드시고 주무시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평소 수면의 효율이 좋지 않아서일수 있습니다.

      수면효율 높이는 법

      식곤증이 와서 낮잠을 많이 주무시는 분들이 많은데, 수면패턴이 망가지는 지름길입니다.

      낮잠은 10~20분정도만 주무시고 조금 힘드시더라도 깨어있으셔야 밤에 잠을 잘 들 수 있습니다.

      커피, 녹차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의 양을 조절하셔야합니다. (개인차가 많아서 자신이 얼마나 마셨을때 잠이안오는지 체크를 하셔야합니다.

      운동을 하셔야합니다.

      적당한 운동으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수면전에 밀가루 음식등의 소화가 잘 안되는음식을 드시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서원 의사입니다.

      불면증에 관련하여 말씀드리면 무리한 운동보다는 가볍고 꾸준한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질문자께서 운동시간에 대해서는 고민해보시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더불어 수면위생에 대해서 검색해보셔서 적용하는걸 권해드립니다.

      몽유병은 증상이 심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다면 의원에 가셔서 수면다원검사로 감별진단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