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24.01.04

극초음속은 음속과 어떻게 구별이 되나요?

시간이 갈수록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마하1 정도만 나와도 무척 빠르게 느껴졌는데 이젠 극초음속까지 나오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극초음속은 음속과 어떻게 구별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속은 공기 중에서의 소리의 속도입니다. 대기압과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초속 340m, 시속 약 1,224km입니다.

    극초음속은 음속의 5배 이상의 속도를 말합니다. 즉, 마하 5 이상입니다. 마하 1은 음속의 속도, 마하 2는 음속의 두 배, 마하 5는 음속의 다섯 배입니다.

    음속과 극초음속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속도: 음속은 초속 340m, 극초음속은 마하 5 이상입니다.

    • 공기의 상태: 음속에서는 공기의 물리적 상태가 크게 변화하지 않습니다. 극초음속에서는 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공기가 압축되어 압축파가 발생합니다.

    • 항공기의 설계: 음속에서는 공기의 저항이 크게 증가합니다. 극초음속에서는 공기의 저항과 압축파로 인해 항공기에 큰 힘이 가해집니다. 따라서 음속과 극초음속의 항공기는 서로 다른 설계가 필요합니다.

    극초음속 비행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짧은 비행 시간: 기존의 비행기보다 훨씬 짧은 시간에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 높은 기동성: 빠른 속도와 높은 기동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극초음속 비행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습니다.

    • 높은 비용: 극초음속 비행기는 기존의 비행기보다 개발과 운용에 높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 소음과 환경 오염: 극초음속 비행기는 높은 소음과 환경 오염을 발생시킵니다.

    극초음속 비행기는 아직까지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군용과 민간용으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속은 공기 중에서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로, 해수면 온도 20℃에서 초속 340m, 시속 약 1,224km입니다. 극초음속은 음속의 5배(마하 5) 이상의 속도를 말합니다. 즉, 음속은 공기 중에서 소리가 전파되는 속도인 반면, 극초음속은 음속의 5배 이상의 속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속의 경우 초당 340 m를 이동하는 속도를 말하고 이를 1 마하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음속의 5배가 넘는 5마하 이상의 속도를 극초음속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초음속 마하 5(1.7 km/s) 이상의 속력으로 비행하는 미사일 또는 비행물체를 뜻합니다. 일반적인 초음속 전투기의 최고 비행속력이 마하 2~3 이내이므로, 그보다 2배가 넘는 속력으로 비행을하는 셈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