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풋풋한풍뎅이157
풋풋한풍뎅이15722.10.13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원리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전기기 물에 접촉했을때 어떻게되는지 그 원리도 궁금한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기가 만들어지기 위해선 터빈과 전자석의 회전이 필요합니다. 터빈은 회전날개와 회전축으로 구성되는데, 수력, 풍력, 태양력, 화력, 원자력 등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됩니다. 터빈이 회전하면서 발전기 안의 전자석으로 된 원통이 함께 돌게 되는데 발전기 안에서는 음극과 양극이 계속 바뀌면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렇게 전류가 흐르면 전기가 생성되는 것입니다.

    또한, 물은 전기가 잘 통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순수한 물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에 가깝습니다. 물이 전류가 잘 통하는 것은 물에 녹아있는 불순물 때문입니다. 불순물이 들어 있는 물에 전기를 흘리면 이 불순물들이 전해질 역할을 하여 전기를 흐르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물 묻은 손으로 전기코드를 만진다거나 작업을 해서는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에너지의 발생원리는 바로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선 코일속으로 자석을 넣었다 뺐다(자속의 변화)하는 운동으로 유도기전력이 생긴다는 이론인데요.

    이것이 전기를 직접적으로 생산하는 발전기의 원리입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회전하는 전자석 즉, 계자를 회전시켜야 전기를 만들 수 있으므로 터빈이라는 것을 같은 축에 연결하여 터빈이 회전하는 힘으로 발전을 하게 되는 겁니다.

    터빈을 돌리는 매체가 대체로 증기여서 기력발전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는 전자(-)의 분포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전기는 보통 전류를 의미하며 전류의 정의는 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전기적으로 +, -극을 가진 물질)입니다. 전기적으로 +극을 가지거나 -극을 가진 물질이 이동하면 전류가 되는 것입니다. 이 때 이동하는 이유는 전압이 있기 때문입니다. 전압은 전류를 만들어준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전압이 물에 가해지면 물 내에도 +, -극을 가진 전해질이라는 물질이 있습니다. 이 전해질에 의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물은 전류가 매우 잘흐르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물은 저항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전기에 접촉되면 전류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V = IR 공식에 의해 전압 V에 대해 저항 R이 낮은 경우 전류 I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전기를 만드는 방식은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 발전 등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각 발전소에서 동력을 만들어내면 자석을 움직여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