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판 구조론과 지진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현재 지구 대륙은 판이라는게 움직이고 잇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 판구조론과 지진의 역학관계가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판구조론이랑 지구의 겉 껍질인 암석권과 여러개의 지각판이 나뉘어져 있으며 이 판들이 맨틀 위의 점성이 있는 층 위에서 서서히 움직이는 현상이며 맨틀의 대류에 의해서 움직이며 이로 인해 판이 서로 멀어지거나 충돌하거나 미끄러지는 이동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지진은 판과 판이 서로 만나는 경계에서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판끼리 상대 운동으로 응력이 축적되다 어느 순간 한계점을 넘어서면서 파열이 나타나며 지진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

    학자들은 지구 표면이 크고 작은 10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판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경계부에서 화산 활동, 지진 등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를 판구조론이라고 합니다.

    판의 경계는 상대적 운동에 따라 두 판이 서로 멀어지는 발산형 경계, 서로 가까워지는 수렴형 경계, 스쳐 지나가는 보존형 경계의 3가지로 구분합니다. 발산형 경계는 맨틀 대류가 상승하는 부분에 해당하며 맨틀 물질의 상승함에 따라 마그마가 분출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나고, 판의 분리와 마그마의 이동에 따라 천발 지진이 발생합니다. 수렴형 경계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에 해당하며 판이 섭입함에 따라 마그마가 발생하여 화산 활동이 일어나고 섭입하는 판과 위에 놓인 판의 마찰에 의해 천발~심발 지진이 발생합니다. 보존형 경계는 두 판이 서로 어긋나 스쳐 지나가는 곳으로 화산 활동은 일어나지 않고 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