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서 중국이커스 기업의 물량공세가 대단하다고하는데 이게 우리경제에 문제가 될까요?
뉴스에서 중국이커스 기업의 물량공세가 대단하다고하는데 이게 우리경제에 문제가 될까요? 우리는 소비자고 싼물건을 사면 좋은것 아닌가요? 그리고 어떻게 저렴하게 공급이 가능할까요. 기업입장에서는 적자가 아닐까하는데 계속 적자로 기업운영이 가능할수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넓어지고 값싼 제품의 양질의 제품을 소비할 수 있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문제는 국내 소매 유통 질서가 교란될 수 있고 해당 기업들의 실적이 저조해 져서 생태계 경쟁력 악화가 부메랑이 되어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중국계 유통 공룡의 습격을 국내 유통사들이 슬기롭게 이겨 내기를 기원하는 바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나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 이커머스 기업인 알리와 테무는 한국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각종 공산품들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중국내에서의 생산단가가 한국보다 저렴한것과 규모의 경제로 박리다매식의 유통이 가능한 덩치이다보니 경쟁력있는 유통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고 보여집니다.
사실 국내 온라인스토어나 쿠팡같은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상당수가 중국공장에서 저렴하게 떼온 상품들을 마진을 붙여 파는 중간다리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중국 이커머스 기업의 공격적인 국내마케팅으로 인해 해당 스마트스토어, 유통플랫폼들의 매출에 타격이 있을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이
우리나라 이커머스 기업 등을 도산시킬 수도 있는 등 합니다.
아무래도 시장을 장악하고 나면 이에 따라서 향후 가격을 올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는 온라인 시장 성장 둔화, 소비 심리 위축 등 대내외 불확실성 극복과 함께 중국발 물량공세에 대한 선대응에도 나서야 하는 진퇴양난에 빠지게 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중국 이커머스의 물량공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알*나 테*가 현재 매우 공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자신들이 출혈하면서 공략하는 것은 이 경쟁에서 1위가 되면 얻을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얻은 수익을 한국에서 사용하지 않고 중국으로 보내게 되기에
한국 경제에는 상당히 부정적인 문제가 될 것이라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