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면 단풍이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을이 되면 나무들은 노란색 혹은 붉은색으로 잎을 물들이며 겨울을 준비합니다.
여름내내 그렇게 푸르던 잎이 단풍이 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단풍은 나무가 잎을 떨어뜨리기위한 과정입니다. - 나무는 겨울이 되면 잎이 동사하여 나무전체가 동사하는 불상사를 막기위한 나무들의 생존 전략입니다. - 잎에는 수분이 많아 겨울이 되면 얼게 되고, 잎에서 언 얼음은 줄기와 뿌리까지 전위되어 전체적으로 얼어 결국 나무는 동사하게 됩니다. - 이것을 막기위해 나무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조량이 적어지면 잎으로 영양분과 수분을 보내는 관을 스스로 막아 공급을 중단합니다. - 이렇게 되면 나무는 광합성을 할수 없어 엽록소가 사라진게 되고 나뭇잎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것이 단풍입니다. 단풍이 들게되면 나무는 점점 마르게되고 결국 잎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 단풍은 잎 속의 엽록소가 분해되고, 새로 안토사이안이 생성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식물의 종류가 달라도 안토사이안은 크리산테민 1종뿐이다. 식물의 종류마다 단풍 빛깔이 다른 것은 이 홍색소와 공존하고 있는 엽록소나 노란색·갈색의 색소 성분이 양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 그리고 안토시아닌 색소를 만들지 못하는 나무들은 비교적 안정성이 있는 노란색과 주황색의 카로틴 및 크산토필 색소를 나타내게 되어 투명한 노랑의 잎으로 변한다. 또한, 붉은색의 안토시아닌과 노란색의 카로틴이 혼합되면 화려한 주홍색이 되는데 이것은 단풍나무류에서 관찰할 수 있다. - 어떤 수종에 있어서는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가 동시에 파괴되고 새로운 카로티노이드가 합성되기도 한다. 그래서 녹색의 색소가 없어지고 노랑의 색소가 나타나며, 또 적색의 색소가 형성되고 이것들이 서로 어울려 여러 가지 빛깔의 단풍을 만들게 된다. 참나무류와 너도밤나무에 있어서는 탄닌 때문에 황갈색을 나타낸다. 
- 나뭇잎이 초록색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엽록소가 초록색이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이 엽록소는 광합성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성분입니다. - 하지만 가을이나 겨울이 되면 광합성으로 얻는 에너지가 적기 때문에 나무는 엽록소를 제거합니다. - 이때, 엽록소가 제거되면 초록색도 같이 제거되어 노랗거나 빨간 단풍이 되는데, - 노란색의 경우는 크산토필이라는 성분이 많으면 나타나게 되고 -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이 많은 나뭇잎은 빨간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